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진선미 의원, 연령대별 소득 현황 분석
"청년층 자산구조, 기성세대와 달라져"
다만 근로소득 대비 배당소득比 10% 미만





29세 이하 청년층이 근로로 벌어들인 소득이 약 1% 늘어나는 동안 투자 등을 통한 배당소득은 2배 이상 급증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에서 제출받은 연령별 소득 현황 자료에 따르면, 0∼29세 배당소득은 지난 2019년 귀속 1조2546억 원에서 2020년 귀속 2조9742억 원으로 137.1% 늘었다.

같은 기간 29세 이하 연령층의 다른 분야 소득 성장 추세는 배당소득보다 크게 뒤떨어졌다. 근로소득의 경우 같은 기간 82조3463억 원에서 83조3888억 원으로 단 1.3% 증가했다. 근로소득과 종합소득을 합친 통합소득은 88조6635억 원에서 91조8927억 원으로 3.6% 증가했다.

또 약 137%에 달하는 29세 이하의 배당소득 증가율은 전체 연령층을 웃돌았으나, 근로소득과 통합소득 증가율은 전체 연령층보다 낮았다. 2019년 귀속분과 2020년 귀속분을 비교했을 때 전체 연령층의 배당소득 증가율은 28.2%로 29세 이하의 137.1%보다 훨씬 낮았다. 그러나 반면 전체 연령층의 근로소득 증가율은 4.0%, 통합소득 증가율은 4.1%로 29세 이하의 1.3%와 3.6%보다 높았다.

1인당 평균 소득으로 비교하면 근로소득은 전체 연령층이 3828만 원이었던 것에 비해 29세 이하는 전체 연령층의 58.4%인 2234만 원이었다. 반면 배당소득은 전체 연령층이 1인당 평균 251만원, 29세 이하는 전체 연령층의 84.6%인 213만원으로 근로소득만큼 차이가 크지 않았다. 어느 연령대든 근로소득 대비 배당소득 비율은 아직 10%가 채 되지 않는 셈이다.

진 의원은 "청년층의 자산 구조가 기성세대와 달라지고 있다는 의미"라며 "변화한 금융 환경에 대해 입체적으로 들여다봐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준희 기자
박준희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