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에서 3.25%로 올려...4·5·7·8·10월 이어 인상
여전히 미국 금리보다는 0.75%p 낮아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는 ‘베이비스텝’을 밟았다. 고물가 상황이 여전히 진행 중인 데다가 미국과 금리 격차가 더 벌어질 경우 외국인 자금 이탈과 환율 상승 등을 우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24일 한은 금통위는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현재 3.00%인 기준금리를 3.25%로 인상했다. 이날 기준금리 인상으로 지난 4, 5, 7, 8, 10월에 이어 여섯 차례 연속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한 것은 처음 있는 일이다.

한은의 이번 결정은 물가상승 압력을 염두에 둔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 10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9.21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5.7% 올랐다. 상승률이 7월(6.3%) 이후 8월 5.7%, 9월 5.6%로 3개월 연속 5%대를 유지하고 있다. 물가 안정을 최대 목표로 삼고 있는 한은 입장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여전히 5%대로 높은 수준이 이어지는 점은 기준금리 인상 압박 요인으로 작용했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난 2일(현지시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4차례 연속으로 기준금리를 0.75%포인트씩 인상해, 현재 기준금리를 4.00%까지 올려놓은 상황이다. 우리나라와의 기준금리 차가 1.00%포인트가 난 상황이어서 이를 좁히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조치가 불가피했다. 기준금리가 미국보다 크게 낮아지면, 외국인 투자 자금이 빠져나가고 원화 가치가 떨어질 위험이 커진다.

이날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면서 미국과의 격차는 일단 0.75%포인트로 좁혀졌지만, 다음 달 Fed가 빅 스텝(기준금리 0.50%포인트 인상)을 단행하면 격차는 1.25%포인트로 더 확대될 수 있다.

가파른 속도로 기준 금리를 인상할 경우 한미 금리 역전 해소나 물가상승 억제에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서민 대출자들의 이자 부담은 그만큼 가중된다. 주택담보대출이나 각종 신용대출을 안고 있는 세대의 경제적 부담이 늘어나기 때문에 소비가 위축되고 이는 다시 경기 침체로 이어질 우려를 안고 있다.

정선형 기자
정선형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