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호(가운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를 주재하며 ‘신성장 4.0 전략’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추경호(가운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를 주재하며 ‘신성장 4.0 전략’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내년 상반기 어려움 가중
물가 높은 수준 지속 전망”


정부가 미래산업의 성장동력을 확보하고자 ‘신(新)성장 4.0 전략’을 수립하기로 했다. 내년 상반기에 경제 상황이 어려울 것으로 보고 위기를 극복하며 재도약하는 전략을 구사하기로 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비상경제장관회의를 주재하고 “미래산업 중심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신성장 4.0 전략’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신성장 4.0 전략은 농업 중심의 성장 1.0, 제조업 중심의 2.0, 정보·기술(IT) 산업 중심의 3.0에 이은 미래산업 중심의 새로운 성장 전략을 의미한다. 추 부총리는 “이를 위해 미래 첨단분야와 디지털 전환, 전략산업 초격차 확보 등 분야에서 핵심 프로젝트를 발굴·추진하고, 연구·개발(R&D), 금융, 글로벌 협력, 인재 양성, 규제혁신 등 지원체계도 개선하겠다”고 예고했다.

추 부총리는 내년 경제 상황에 대해 “상반기 어려움이 가중될 가능성이 크다”면서 “물가는 정점을 지나 상승 압력이 다소 완화됐지만 당분간 여전히 높은 수준을 지속할 것으로 보이고, 취업자 증가 폭도 기저효과 등으로 크게 둔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내년 경제 정책은 ‘위기 극복과 재도약’에 중점을 두겠다고 밝힌 추 부총리는 “경제 여건 변화와 리스크(위험)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거시경제를 안정적으로 운용하고 물가와 생계비 부담은 낮추며 일자리와 안전망은 확대·강화해 민생 경제의 빠른 회복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수출·투자 어려움은 과감한 인센티브와 규제 혁신을 통해 해소하고 공공·노동·교육·금융·서비스 등 5대 부문 구조 개혁을 가속화해 인구·기후위기, 공급망 재편 등 미래에 대한 대비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추 부총리는 “2023년 경제정책방향과 신성장 4.0 전략 추진계획을 심도 있게 논의해 조만간 발표할 것”이라고 전했다.

조해동 기자 haedong@munhwa.com
조해동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