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출고분부터 적용
국제 곡물가의 하락으로 사료 가격이 떨어져 축산농가들의 부담이 줄어들 전망이다.
16일 농림축산식품부 오는 19일 출고분부터 ㈜농협사료가 배합사료 가격을 포대(25㎏ 기준)당 500원(20원/㎏)씩 평균 3.5% 인하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료 가격 인하는 배합사료 원료 중 60%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는 옥수수, 대두박 등 주요 수입 곡물 도입가격이 7월 고점 이후 하락세로 전환됐고, 9~10월 급등세에 있던 대미 환율 역시 11월 이후 하향 안정된 데 따른 조치다. ㈜농협사료 관계자는 “어느 때보다도 축산업이 위기에 처해 있는 시점에 축산농가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당초 계획보다 10일 앞당기고, 인하 수준도 2배로 확대하는 등 선제적으로 가격 인하를 실시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최근 곡물 가격과 환율이 다소 안정됐으나 여전히 변동성이 큰 상황”이라며 “향후 곡물가격 및 환율 추이를 지켜보면서 인하요인이 발생할 때마다 즉시 투명하게 가격을 내리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시장점유율 17.4%로 업계 1위에 해당하는 ㈜농협사료의 선제적 가격 인하 조치가 다른 일반사료 업체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10월 양축용 배합사료의 평균가격은 703원/㎏으로, 9월 대비 2원/㎏ 인하됐고, 대표적인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사료인 도드람(양돈)과 대한한우(한육우)는 원재료비 인하를 우선 반영해 12월에 각각 전월 대비 7원/㎏, 5원/㎏ 인하한 것으로 알려졌다.
농식품부는 축산물 생산비의 50~60%를 차지하는 사료 가격 인하로 농협사료를 이용하는 축산농가들의 생산비가 월 56억 원(농협사료 시장점유율 기준) 정도 절감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김정욱 농식품부 축산정책국장은 “정부에서도 사료 가격 안정을 위해 대체 원료 확보, 해외 공급망 다변화, 국내 조사료 생산 확대 등 수급 안정 방안을 지속적으로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박정민 기자 bohe00@munhwa.com
국제 곡물가의 하락으로 사료 가격이 떨어져 축산농가들의 부담이 줄어들 전망이다.
16일 농림축산식품부 오는 19일 출고분부터 ㈜농협사료가 배합사료 가격을 포대(25㎏ 기준)당 500원(20원/㎏)씩 평균 3.5% 인하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료 가격 인하는 배합사료 원료 중 60%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는 옥수수, 대두박 등 주요 수입 곡물 도입가격이 7월 고점 이후 하락세로 전환됐고, 9~10월 급등세에 있던 대미 환율 역시 11월 이후 하향 안정된 데 따른 조치다. ㈜농협사료 관계자는 “어느 때보다도 축산업이 위기에 처해 있는 시점에 축산농가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당초 계획보다 10일 앞당기고, 인하 수준도 2배로 확대하는 등 선제적으로 가격 인하를 실시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최근 곡물 가격과 환율이 다소 안정됐으나 여전히 변동성이 큰 상황”이라며 “향후 곡물가격 및 환율 추이를 지켜보면서 인하요인이 발생할 때마다 즉시 투명하게 가격을 내리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시장점유율 17.4%로 업계 1위에 해당하는 ㈜농협사료의 선제적 가격 인하 조치가 다른 일반사료 업체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10월 양축용 배합사료의 평균가격은 703원/㎏으로, 9월 대비 2원/㎏ 인하됐고, 대표적인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사료인 도드람(양돈)과 대한한우(한육우)는 원재료비 인하를 우선 반영해 12월에 각각 전월 대비 7원/㎏, 5원/㎏ 인하한 것으로 알려졌다.
농식품부는 축산물 생산비의 50~60%를 차지하는 사료 가격 인하로 농협사료를 이용하는 축산농가들의 생산비가 월 56억 원(농협사료 시장점유율 기준) 정도 절감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김정욱 농식품부 축산정책국장은 “정부에서도 사료 가격 안정을 위해 대체 원료 확보, 해외 공급망 다변화, 국내 조사료 생산 확대 등 수급 안정 방안을 지속적으로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박정민 기자 bohe00@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