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산보호 신청’ 대형 가상화폐거래소 FTX
창업자 뱅크먼-프리드 당시 기부금 회수 중
‘수익금 아닌 고객 예치금으로 기부’ 의혹도
지난해 11월 법원에 파산 보호 신청을 접수한 글로벌 대형 가상화폐 거래소 FTX가 창업자인 샘 뱅크먼-프리드의 CEO 시절 약속한 기부금을 회수하고 있다. 뱅크먼-프리드는 FTX가 ‘잘 나가던’ 한때 최대 수천억 원에 이르는 기부금을 약속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7일(현지시간) FTX의 파산 보호 신청을 수습하고 있는 존 J. 레이 CEO가 뱅크먼-프리드의 회사 경영 시절 기부를 약속했던 기부처로부터 기부금을 회수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며 일부 기부처에서는 반환 의사도 밝혔다고 보도했다. 레이 CEO 등 현 경영진은 반환 요구에 응하지 않는 기부처의 경우 파산 법원에 의한 법적 절차도 밟을 계획이다.
앞서 ‘괴짜 천재’ ‘코인 천재’ 등으로 불리던 뱅크먼-프리드는 자신의 주요한 재산 축적 동기 중 하나로 자선 활동을 꼽을 정도로 많은 기부 활동을 해왔다. FTX의 자선 활동 조직인 ‘퓨처펀드’가 작년 9월까지 기부를 약속한 금액만 1억6000만 달러(약 1999억 원)에 달하고 수혜 대상인 비영리 조직은 110여 곳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FTX는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에 1000만 달러의 기부를 약속했으며 FTX의 회사 광고에 출연한 슈퍼모델 지젤 번천이 지정해준 연례 기부처, 인도와 중국의 저개발 지역 학생들의 학습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등에도 기부를 약속했다. 이들 기부처 가운데 머신러닝 관련 비영리 조직인 얼라인먼트 리서치센터는 125만 달러의 기부금을 반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고 뱅크먼-프리드의 가족재단인 ‘스트롱거 퓨처’로부터 160만 달러를 받은 탐사보도 매체 프로퍼블리카도 반환 의사를 전해왔다. 그러나 적지 않은 기부처는 이미 받은 돈의 상당 부분을 써버렸고 일부는 법적 쟁점 사항을 이유로 반환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WSJ는 전했다.
뱅크먼-프리드의 CEO 시절 FTX는 정치 후원금도 상당히 기부했다. FTX의 파산 보호 신청 사태가 불거진 후 지난해 12월 AP통신은 “FTX가 최근 18개월간 각종 선거에 출마한 후보들에게 수천만 달러를 기부했으며, 이는 상당 부분 민주당 정치인에 흘러 들어간 간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보도했다. 뱅크먼-프리드는 지난 2020년 미국 대선 때 조 바이든 당시 민주당 후보에게도 수백만 달러를 후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FTX가 지난해 11월 10일 파산 보호 신청을 법원에 접수한 후 이들 정치인은 FTX의 후원금을 ‘털어내기’에 바빴다. 민주당 하킴 제프리스(뉴욕주) 의원은 금액을 밝히지 않은 채 뱅크먼-프리드의 후원 자금을 미국당뇨병협회에 기부했다고 밝혔다. 같은 당의 피트 아길라(캘리포니아주) 의원도 지난해 11월 뱅크먼-프리드가 후원한 돈을 지역자선단체에 기부했다고 언급했다. 앤지 크레이그(미네소타주) 민주당 의원의 경우 자신이 받은 후원금을 FTX 고객들에게 보상하기 위해 파산 기금에 기부할 것이라고 전했다.
현지 검찰은 뱅크먼-프리드가 고객 예치금을 불법적으로 전용한 사용처 중 하나로 기부를 꼽지만 뱅크먼-프리드측은 기부는 수익금으로 했다면서 이를 부인하고 있다. 게다가 기부가 FTX의 지급불능 상태에서 이뤄졌다면 반환 사유가 될 수도 있지만 FTX가 지급 불능에 빠지기 시작한 시점을 특정하는 것도 만만치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다만 법원이 FTX를 기본적으로 다단계 사기 수법에 기초한 폰지사기 업체로 규정한다면 기부금 반환 절차가 좀 더 쉬워질 가능성도 있다.
박준희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
관련기사
57[속보]이 대통령 ‘잘할 것’ 65%·‘잘못할 것’ 24%…민주 45%·국힘 23%-NBS
[속보]이재명 시계 만든다…李 “제작 지시, 기대해주셔도 좋다”
-
관련기사
27尹 오늘 2차 소환 불응…경찰 “일과 끝날 때까지 기다릴 것”
‘비화폰 삭제 의혹’ 尹 전 대통령, 경찰 소환조사 불응 방침
-
관련기사
104‘안미경중’ 경고 이어… 미, 이재명 대통령에 ‘中 거리두기’ 요구
투표율 79.4%, 1997년 이후 최고치… 광주 83.9%로 1위·제주 74.6% 최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