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빵요정의 세상의 모든 디저트 - 佛 ‘갈레트 데 루아’
1월을 여는 프랑스의 향토 과자이자 시즌 과자인 갈레트 데 루아(Galette de Rois). 빵요정의 세상의 모든 디저트에서도 매년 1월 첫 기사의 주인공으로 등장하고 있습니다. 1월 6일 주현절에 먹는 이 갈레트 데 루아는 ‘왕의 과자’라는 뜻의 이름으로 겹겹의 버터 향을 머금은 페이스트리 안에 아몬드 파우더로 만든 프랑지판 필링을 채워 구워냅니다.
반죽을 굽기 전에 페브(feve)라는 이름의 작은 도자기 인형을 넣어 ‘왕의 게임’을 하는 풍습도 있습니다. 고대 로마 시대 때부터 전해져 온 풍습입니다. 새해 초에 로마신화 속 농업의 신 사투르누스에게 바치는 축제 기간에 평민과 함께 지내는 노예들까지 모두 한자리에 모여 잠두콩을 숨겨 둔 갈레트 데 루아를 나눠 먹으며 그 잠두콩을 발견한 사람이 하루 동안 그날의 왕으로 행세하며 누구에게나 명령을 내리고 원하는 소원을 빌 수 있었다고 합니다. 로마 시대 이후에 세 명의 동방박사가 아기 예수를 찾아온 1월 6일 주현절로 왕의 놀이 풍습은 이어집니다.
왕의 놀이에서는 멋진 종이 왕관과 페브가 왕의 게임을 더욱 즐겁게 만들어 주는 장치가 됩니다. 그래서인지 매년 갈레트 데 루아를 선보이는 디저트 업장들에서는 직접 디자인을 하여 구워 낸 페브나 프랑스에서 직수입하여 구한 페브들을 선보입니다. 매년 이를 모아가는 재미 또한 있습니다. 참, 요즘은 페브 자체를 갈레트 속에 넣어 굽기보다는 대신 아몬드나 헤이즐넛과 같은 견과류로 대신합니다. 따로 페브를 포장해 넣어주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자칫 잘못하여 페브를 이로 씹다가 다치는 의료 사고가 많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한국에서도 점차 많은 과자점에서 갈레트 데 루아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작년과 비교했을 때 눈에 띄는 부분은 과감한 맛의 변주를 시도하는 곳이 늘어났다는 점과 사전 예약을 통해 픽업 시스템을 활용하는 점입니다. 3∼4인이 맛볼 수 있는 사이즈를 기준으로 홍차나 커피 등과의 티타임을 즐기는 문화도 늘어났습니다.
앞서 소개한 대로 갈레트 데 루아는 보편적으로 프랑지판을 넣어 만든 아몬드 풍미의 과자지만, 프랑스 지방에서는 각각 특산물을 더한 맛을 내기도 합니다. 프랑스의 남부 프로방스 지방에는 오렌지 꽃 향을 머금은 폭신한 브리오슈 빵으로 왕관 모양을 만들어 먹습니다. 이름하여 갸토 데 루아. 이 외에도 풍성한 과일로 만든 잼을 넣는다거나 누텔라와 같이 고소한 견과류와 초콜릿을 더한 조합으로 완성하기도 합니다.

메종엠오. 서울시 서초구 방배로26길 22 1층 코너/ 0507-1387-3341
김혜준 푸드 콘텐츠 디렉터
주요뉴스
시리즈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