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4년만에 봉쇄 풀린 ‘춘윈’ 긴장
15일 하루동안 4114만명 이동
지난해 두배인 21억명 달할 듯
당국, 지방에 코로나 전파 우려
발열 진료소 대거 설치 등 지시
중국 작년 성장률 3%로 하락 속
코로나 확산땐 경제 회복 찬물
작년 인구 1961년 이후 첫 감소
베이징=박준우 특파원 jwrepublic@munhwa.com

지난해 중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전년보다 크게 둔화한 가운데 본격화되고 있는 춘제(春節·설) 연휴 기간의 인구 대이동 ‘춘윈(春運)’이 올해 초 중국 경제의 복병이 되고 있다. 지난해보다 두 배 가까운 인구 이동이 예상되는 가운데 춘윈을 통한 코로나19의 지역 확산과 경제로의 영향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역 감염이 심각해 중국 내 통제가 다시 강화된다면 2023년 초반 회복세가 예상되는 중국 경제에도 큰 타격이 될 전망이다.
16일 중국 교통운수부에 따르면 전날 중국 전체에서 열차, 자동차, 선박, 항공 등을 이용해 이동한 인구는 약 4114만1000명으로 전년 동기(춘윈 9일차) 대비 47.2% 증가했다. 교통운수부 산하 과학연구원은 올해 춘윈 기간(40일) 지난해의 약 두 배인 20억9500만 명이 이동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강도 높은 ‘제로 코로나’ 정책이 지난해 12월 사실상 해제되면서 고향을 찾는 사람들이 크게 증가할 예정이라는 것. 전문가들은 특히 그동안 대도시에 나와 돈을 벌던 ‘농민공’들이 올해 대거 고향을 다녀올 것이라고 분석했다. 방역 당국은 이 기간 현재 대도시 중심으로 확산한 코로나19가 지방으로 전파될 것으로 보고 긴장하고 있다. 고령자가 많고 의료시설이 취약한 농촌 지역에서 코로나19가 확산할 경우 피해가 극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 국무원은 농촌 지역에 중환자 집중치료 병상 1개당 의사 1명과 2.5∼3명의 간호사를 준비하고, 마을 발열 진료소를 대거 설치하라고 지역 당국에 지시했다.
당국이 코로나19 확산을 효과적으로 통제하지 못할 경우, 올해 중국 경제에도 큰 타격이 생길 전망이다. 중국의 지난해 GDP 성장률은 3.0%로 지난 2021년 8.4%에 비해 크게 위축됐다. 그러나 방역 정책이 전환된 올해부터 반등이 점쳐지고 있다. 코로나19의 급속한 확산이 이뤄질 경우 생산 차질 및 소비 위축으로 인한 회복 둔화가 우려된다. 국무원의 코로나19 대응 합동방역통제기구는 새로 발표한 방역지침에서 상황에 따라 방역을 다시 강화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한편 중국 국가통계국은 지난해 말 중국 인구가 14억1175만 명으로 집계돼 2021년(14억1260만 명)보다 줄었다고 발표했다. 중국의 인구가 줄어든 것은 60년 만에 처음이다.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