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4일 서울 시내에서 한 시민이 시중은행의 현금인출기(ATM)를 이용하고 있다. 문호남 기자
지난 14일 서울 시내에서 한 시민이 시중은행의 현금인출기(ATM)를 이용하고 있다. 문호남 기자


5000억 사회공헌 펀드 조성
소상공인 금융비용 완화 등
들끓는 민심 달래기 안간힘


은행권이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5000억 원 규모의 사회공헌 펀드 조성에 속도를 높이기로 했다. 은행권은 역대 최대 실적과 막대한 성과급으로 ‘이자 장사로 돈 잔치를 벌인다’는 눈총을 받자, 들끓는 여론을 달래고 고통 분담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해법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은행권 고위 관계자는 15일 “취약계층 지원을 위해 은행권이 처음으로 공동 조성 중인 사회공헌 펀드의 구체적인 사용 계획을 확정해 곧 외부에 공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국은행연합회는 지난 1월 말 경제적 부담이 커진 취약계층을 선제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개별은행 수익의 일정 부분을 재원으로 해 총 5000억 원의 상생 펀드를 조성키로 했다.

은행연합회는 한계가정·소상공인·중소기업의 금융비용 부담을 완화하고, 사회적 약자를 돕는 공익사업 추진 계획을 구체화할 것으로 보인다. 은행연합회 관계자는 “은행들이 현재 상황을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다”며 “현재는 각 은행 내부에서 자율적으로 여러 아이디어가 나오는 단계로, 조만간 복수 은행이 방안을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될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금융감독당국 수장이 ‘생색’만 내는 것 아니냐는 의혹을 직접 제기한 터라 은행권은 사회공헌 프로그램의 진정성과 실효성을 입증해야 하는 입장에 처해 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6일 “은행권이 지난해 말 시장안정에 동참하고 4000억 원 규모의 중소기업 지원 계획에 이어 최근 5000억 원 규모의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내놔 감사한 마음”이라면서도 “일각에선 거기 포함된 프로그램이 통상적인 관행이나 업무에 포함된 것을 포장한 게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고 지적했다.

코로나19 사태와 금리 상승으로 은행들이 최근 수년째 사상 최대 이익을 내면서도 사회공헌에 인색하다는 지적을 받아와 사회공헌 확대 방안을 둘러싼 은행권의 고민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

이관범 기자 frog72@munhwa.com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