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AI 혁신허브’ 개소식
203개기관·631명 연구진 참여
445억 투입 12개 AI기술 개발


우리나라 인공지능(AI) 기술 개발의 미래를 책임질 대규모 컴퓨팅 지원시설인 ‘AI 혁신 허브 데이터센터’가 문을 열었다. 챗GPT 같은 ‘생성(generative) AI’를 비롯해 12개의 첨단 AI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35페타플롭스(PF) 규모의 거대 정보 처리가 가능한 대형 AI 컴퓨팅 센터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5일 고려대 캠퍼스에서 국내 최고 수준의 AI 연구 및 인재 양성을 위한 국내 네트워크 ‘AI 혁신 허브’의 연구용 데이터센터 개소식을 했다. AI 혁신 허브는 국내 대학·기업·연구소 등이 보유한 AI 연구 역량을 결집해 세계적 수준의 경쟁력을 갖춘 국가 AI 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고려대를 주관기관으로 203개 기관에서 631명의 연구진이 참여, 12개의 AI 분야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도전적 연구를 추진 중인 대형 산학연 컨소시엄이다. 2025년까지 총 445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12개 AI 기술은 뇌파 음성 합성, 초거대 딥러닝, 시공간 설계지능, 뉴로·심볼릭 추론, 단백질 구조예측, 신물질 등 발견, 능동학습 및 생성기술, 자가개선 HW, 상호작용 AI, 우주 관측, 에너지 특화 거대 AI 등이다. AI 기술 발전의 물적 토대는 관련 인력·데이터·컴퓨팅 자원이며, 최근 챗GPT 등 초거대 AI의 등장으로 고성능 컴퓨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 센터는 최대 100명이 동시에 대규모 AI 연구 프로젝트 수행이 가능한 35PF 규모의 컴퓨팅 센터이다. 1PF는 초당 1000조(兆)번 이상의 부동소수점 연산을 수행한다는 의미로, 전 지구의 인구(약 76억 명)가 각각 1초 동안 13만 회 이상의 계산을 수행하는 것과 같다.

이날 행사에는 박윤규 과기정통부 제2차관, 정진택 고려대 총장, 전성배 정보통신기획평가원 원장, 이성환 AI 혁신 허브 총괄연구책임자, 정원주 AI 혁신 허브 데이터센터장 등 40여 명이 참석했다.

노성열 기자 nosr@munhwa.com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