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정문. 연합뉴스
서울대 정문. 연합뉴스


서울대·연세대·고려대가 2023학년도 정시모집을 마감한 결과 모집 정원 대비 28.8%가 의대 진학 등을 이유로 최종 등록을 포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종로학원이 추가 합격자 발표를 마감한 3개 대학의 정시모집 결과를 분석한 결과, 총 4660명 모집에 1343명(28.8%)이 등록을 포기했다. 이는 지난해 1301명(29.5%)과 비슷한 수준이다. 서울대는 총 155명(11.5%)이 등록을 포기했는데 지난해(202명·19.5%)에 비해 크게 줄었다. 연세대와 고려대는 지난해 대비 등록 포기자가 많아졌다. 연세대는 총 643명(38.5%)이 등록을 포기해 지난해보다 5명 늘었으며 고려대의 등록 포기자는 총 545명(33.2%)으로 전년 대비 84명 늘었다. 종로학원 측은 서울대의 등록 포기율이 떨어진 것에 대해 “서울대 정시가 2023학년도 입시에서 내신을 처음으로 적용했다. 수능 우수학생이 정시 원서 접수 단계부터 서울대가 아닌 의학계열로 지원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계열별로 보면 연세대와 고려대에서 인문계열 포기율(499명, 32.1%)이 지난해(477명, 28.8%)보다 크게 늘었다. 연세대와 고려대의 자연계열 포기 비율은 42.9%(649명)로, 지난해(41.0%·41.0%)보다 조금 늘었다. 세 학교 자연계열에서는 총 737명(33.0%)이 등록을 포기했고, 인문계열은 총 564명(28.1%)이 등록을 하지 않았다. 예체능은 총 42명(10.0%)이 등록을 포기했다.

3개 대학의 의학계열 등록포기자는 지난해 94명에서 올해 63명으로 크게 줄었다. 서울대 의대는 전년과 마찬가지로 아무도 등록을 포기하지 않았고 연세대 의대는 8명(전년 10명), 고려대 의대는 4명(전년 6명)이 등록을 포기했다. 최초 합격자 전원이 등록을 포기한 학과도 있었는데 연세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는 모집인원 대비 130.0%, 연세대 컴퓨터과학과는 120.6%, 연세대 약학과는 116.7%의 포기율을 보였다.



나윤석 기자
나윤석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