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감만 부두 야적장에 쌓여 있는 컨테이너. 뉴시스
부산 감만 부두 야적장에 쌓여 있는 컨테이너. 뉴시스


전문가 체감 제조업 경기가 3개월 연속 상승했다. 내수와 수출도 활력을 찾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19일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6∼10일 222개 업종 전문가 161명을 대상으로 전문가 서베이 지수(PSI) 조사를 실시한 결과, 2월 제조업 업황 PSI가 1월(82)보다 10포인트 상승한 92로 지난해 4월 이후 가장 높았다.

PSI는 100(전월 대비 변화 없음)을 기준으로 200에 가까울수록 전월보다 업황이 개선됐다는 의견이 많다는 것을, 0에 근접할수록 업황이 악화했다는 의견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조업 업황 PSI는 지난해 9∼11월 연속 하락하다 12월부터 3개월 연속 상승세다. 지난달에는 내수(93)가 두 자릿수(14포인트) 상승하고, 수출(92)도 9포인트 올랐다. 생산(95)과 투자(82)도 2포인트와 5포인트 오르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업종별로는 철강(145)이 전달보다 28포인트 올라 상승폭이 가장 컸고 휴대전화(104), 조선(115), 자동차(109) 등도 두 자릿수 상승세를 나타냈다. 디스플레이(75)와 가전(71)은 상승으로 전환했다. 반도체(38)는 1월과 같은 수준이며 바이오·헬스(90)는 15포인트 하락했다.

3월 제조업 전망 PSI는 2월보다 11포인트 상승한 101로 경기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확인됐다. 전망 PSI가 100을 넘어선 것은 지난해 5월 이후 10개월만에 처음이다. 내수(101)와 수출(106)은 14포인트와 15포인트 올라 지난해 5월 이후 처음으로 기준선을 웃돌았고 투자(87)도 3포인트 추가 상승했다. 업종별로는 반도체(67)의 전망치가 24포인트 올라 상승폭이 가장 컸다. 휴대전화(121), 가전(86), 화학(109), 철강(118) 등 대부분의 업종이 두 자릿수 상승세를 보였고 자동차(103)와 조선(105)는 소폭 하락했다.

이준호 선임기자
이준호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