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더 라이브’ 9일 방송분 유튜브 캡처
KBS ‘더 라이브’ 9일 방송분 유튜브 캡처


김도형 교수가 KBS에도 JMS 신도들이 있다고 말하자 진행자들이 놀라는 모습. 네티즌들이 김도형 교수의 신변보호를 요청하고 있다. KBS ‘더 라이브’ 유튜브 캡처
김도형 교수가 KBS에도 JMS 신도들이 있다고 말하자 진행자들이 놀라는 모습. 네티즌들이 김도형 교수의 신변보호를 요청하고 있다. KBS ‘더 라이브’ 유튜브 캡처


사회자 “단언할 수 없다” 하자
김 교수 “이름도 말할 수 있어”
“JMS 옹호자 멀리 있지 않아”


“정명석을 비호하는 사람이 먼데 있지 않습니다. 이 KBS에도 있습니다.”

여신도 상습 성폭행 혐의를 받고 있는 이단 단체 기독교복음선교회(JMS)를 30여년간 추적해 온 김도형 단국대 교수가 생방송으로 진행된 KBS1 ‘더 라이브’에서 “KBS에도 (JMS 총재) 정명석을 비호하는 사람이 있다”고 주장했다. 당황한 진행자들은 “단언하지 말라”고 했으나, 김 교수는 “제가 이름도 말할 수 있다”고 했다.

김 교수는 9일 이 방송에 출연해 정 총재와 JMS의 실체를 폭로했다. 방송 말미 김 교수는 “정명석을 비호하는 사람이 먼 데 있지 않다. KBS에도 있다. KBS PD가”라고 돌발 발언을 했다.

진행자는 “단언하지 마라”며 김 교수의 말을 끊었다. 그러자 김 교수는 ‘더 라이브’ 제작진쪽을 바라보면서 “제가 이름도 말할 수 있다. 그건 잔인할 거 같아서 이름은 말씀드리지 않겠다”고 했다.

김 교수는 또 KBS 방송에 자주 출연하는 통역사도 JMS 신도라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그 여자 통역사는 현재 형사사건화된 (정명석의) 외국인 성피해자들을 통역했던 역할을 했던 사람”이라면서 “그런 사람들이 KBS 방송에 노출된다면 ‘저 언니는 신뢰할 수 있겠다’고 생각할 거다. 그 언니를 신뢰하고 따라가면 어떻게 되겠냐. 성피해자가 되는 거다”라고 했다.

진행자가 “(JMS 신도가) 사회 곳곳에 있는 것 같다”고 하자, 김 교수는 “사회 곳곳에 있다”고 했다. 김 교수가 “또 중국 강간 치사 사건을 말씀드리겠다”고 말을 이어가려 하자 진행자들은 “시간이 없다”며 방송을 마무리했다.

방송이 끝나고 온라인에는 ‘KBS에도 JMS 신도가 있다’는 발언만 짜깁기한 영상이 빠르게 퍼졌다. 더 라이브 유튜브 영상 밑에는 “KBS PD와 여성 통역사 누군지 밝혀 달라”는 댓글이 쏟아졌다. 또 생방송인 게 다행이라는 댓글도 많았다. 네티즌들은 “녹화 방송이었으면 편집됐을 듯”, “진행자들 당황했다”고 꼬집었다. 또 “김 교수님 신변 보호가 필요하다”는 요청도 쏟아졌다.

KBS는 10일 “김도형 단국대 교수가 방송에서 제기한 JMS 비호 의혹에 대해, 즉각 진상조사에 착수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응하는 조치를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김 교수는 JMS를 실체를 폭로하는 사이트로 알려진 ‘엑소더스’의 운영자로, JMS 내부에서는 ‘사탄의 몸통’으로 불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화제가 된 넷플릭스 오리지널 다큐멘터리 ‘나는 신이다:신이 배신한 사람들’에서도 JMS를 폭로하다 아버지가 테러당한 사실을 전한 바 있다.

박세영 기자

관련기사

박세영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