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 전 세계의 관심은 미국 실리콘밸리 뱅크(SVB)의 폐쇄 후폭풍에 쏠릴 전망이다. 이는 14일 발표되는 미 소비자물가지수의 향방과 더불어 오는 22일 발표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상 폭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으로 평가된다. 더불어 미국·영국·호주의 3국 동맹인 오커스(AUKUS) 정상회의와 한·일 정상회담 등도 이번 주 주요 헤드 라인 뉴스가 될 것으로 관측된다.

실리콘밸리 은행 본사. 연합뉴스
실리콘밸리 은행 본사. 연합뉴스
◇1콕 : 미국 SVB 폐쇄.. 정부 구제금융 투입? = 뉴욕증시는 SVB의 폐쇄 후폭풍에 따라 높은 변동성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금융시장 참가자들은 SVB의 갑작스러운 폐쇄 소식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우선 미국 정부는 SVB의 폐쇄 여파가 확산할 조짐을 보이면서 대응에 나선 상태다. 규제 당국은 피해 최소화를 위해 예금 보호 한도 초과분의 일정 부분을 조기에 지급하고, 다른 은행으로의 확산에 대비해 기금을 마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미 규제 당국은 SVB에서 예금 보호가 안 되는 금액의 일부도 조기 지급이 이뤄질 수 있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미 규제 당국은 SVB의 자산을 매각해 고객들에게 무보험 예금 일부를 이르면 13일에 인출할 수 있도록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현재 미국의 예금 보호 한도는 25만 달러(3억3000만 원) 수준으로 이를 초과하는 금액의 일정 부분에 대해서도 조기에 지급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익명을 요구한 소식통들은 초과 금액의 30%에서 50%, 또는 그 이상 범위에 대해서도 조기 지급론이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 해군의 버지니아급 핵 추진 잠수함이 훈련하는 모습. 로이터 연합뉴스
미국 해군의 버지니아급 핵 추진 잠수함이 훈련하는 모습. 로이터 연합뉴스
◇2콕 : 호주 세계 여섯 번째 핵 추진 잠수함 보유국 되나 = 오는 13일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 리시 수낵 영국 총리가 오커스 정상회의에 나설 전망이다. 특히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정상회의 이후 호주가 미국으로부터 버지니아급 핵 추진 잠수함 5척을 구매하는 방안이 발표될 것으로 관측된다. 버지니아급은 미국의 최신형 공격형 핵 추진 잠수함이다.

보도에 따르면 호주는 2030년대 초까지 미국에서 건조되는 버지니아급 핵 추진 잠수함 3척을 구매할 예정이다. 또 2030년대 중반까지 2척을 추가 구매할 수 있는 옵션을 갖는다. 구매가 이뤄지면 호주는 미국, 러시아, 중국, 영국, 프랑스에 이어 여섯 번째 핵 추진 잠수함 보유국이 된다. 다만 미국과 호주 정치권에선 호주의 미국 핵잠수함 도입을 반대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미국에선 자체 핵잠수함 수급 계획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호주에선 미국이 호주 국방에 간섭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해 11월 정상회담 당시 윤석열(오른쪽)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연합뉴스
지난해 11월 정상회담 당시 윤석열(오른쪽)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연합뉴스
◇3콕 : 기시다 일본 총리 ‘새로운 사과’ 대신 ‘역사인식 계승’ 표명? = 오는 16일 일본 도쿄에서 열릴 한일 정상회담도 관심거리다. 특히 지지통신에 따르면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윤석열 대통령과 정상회담에서 역사 문제에 대해 새로운 사과를 하는 대신 역대 일본 내각의 입장을 계승한다는 입장 표명에 그칠 예정이다. 지지는 "(1998년 한일 공동)선언에 식민 지배에 대한 사과와 함께 미래지향을 명기하고 있어 한일관계의 기반으로 적절하다고 판단했다"면서도 "일본 국내 보수파에 대한 배려도 배경에 있다"고 분석했다.

한국 정부가 6일 일제 강제 징용 해법을 발표한 뒤에도 기시다 총리는 "한일 공동선언을 비롯한 역대 내각의 역사 인식을 계승한다"고 밝혔을 뿐이다. 또 기시다 총리와 하야시 요시마사 외무상 모두 새로운 사과나 반성도 아닌 과거 담화를 계승한다는 발표에서도 담화에 담긴 단어인 ‘통절한 반성’과 ‘마음으로부터의 사죄’는 언급하지 않았다. 지지는 이번에 기존 내각 입장 계승 표명에 그치는 이유에 대해 "새로 사과를 표명해 미래 지향을 끌어내도 다시 한국이 뒤집을 가능성을 우려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임정환 기자
임정환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