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덕민 주일 한국대사 연합뉴스
윤덕민 주일 한국대사 연합뉴스


윤덕민 주일 한국대사가 한국 정부의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해법 발표 이후 일본의 조치와 관련 “피해자의 생각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윤 대사는 아사히신문이 12일 보도한 인터뷰에서 “징용 문제가 사실상 백지화된 위안부 합의의 전철을 밟지 않으려면 피해자의 마음을 달래고 한국 정부 발표에 반대하는 사람도 납득할 수 있는 일본의 후속 조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윤 대사는 일본의 후속 조치와 관련 “앞으로 일본 기업의 자발적 기여로 어떤 좋은 결과가 나올 것인지가 매우 중요하다”며 “일본은 이 문제가 법적으로 끝났다고 볼 수 있지만, 피해자들은 그렇지 않다”고 덧붙였다.

윤 대사는 “일본이 과거 정부의 역사 인식을 계승하겠다고 한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며 “양국 정부는 피해자의 감정을 자극하지 않도록 발언을 신중하게 해야 한다”고 밝혔다. 피해자 우선주의를 강조하며 일본 측의 지속적인 노력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일 양국은 오는 16일 정상회담을 앞두고 있다. 이에 대해 윤 대사는 “양국 정상이 만나는 것 자체가 중요하다”며 “과거를 직시해야 하지만, 미래에 어떤 협력을 할 수 있는지에 관한 논의가 많이 이뤄지면 성공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1998년 한일 공동선언이 ‘버전 1.0’이라면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의 시대는 ‘버전 2.0’이 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철순 기자
정철순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