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6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와의 정상회담으로 이른바 ‘셔틀외교’를 복원한 것은 양국 관계 정상화의 상징으로 꼽힌다.
윤 대통령은 정상회담 후 공동기자회견에서 형식·내용에 구애받지 않고 상대국을 정례적으로 방문하는 셔틀외교 재개를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앞으로 우리 두 정상은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필요하면 수시로 만나는 셔틀외교를 통해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기시다 총리도 “광범위한 분야에서 정부 소통을 활성화해 나가는 데 의견이 일치했다”며 “장기간 중단됐던 한일 안보대화, 차관전략대화를 조기에 재개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정치권에서 셔틀외교라는 용어는 헨리 키신저 전 미국 국무장관이 1970년대 초반 아랍·이스라엘을 오가며 중재자 역할을 했던 데서 통용됐다. 한·일 외교에서는 노무현 전 대통령이 지난 2004년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전 총리와 매년 1차례씩 상대국을 오가며 정상회담을 열기로 합의했던 맥락으로 사용됐다. 다만 당시의 셔틀외교는 고이즈미 전 총리의 야스쿠니(靖國) 신사 참배로 1년 만에 중단됐다. 이명박 전 대통령이 후쿠다 야스오(福田康夫) 전 총리와 셔틀외교를 하겠다고 합의했으나, 2012년 8월 이 전 대통령의 독도 방문으로 무산됐다.
윤 대통령으로서는 셔틀외교를 기반으로 한·일 관계에서의 향후 과제를 풀어야 하는 과제가 남았다. 이번 한·일 정상회담에서 기시다 총리는 지난 1998년 김대중·오부치 게이조 선언을 계승한다면서도 ‘과거를 직시하고 미래를 지향한다’는 내용을 직접 이야기 하지는 않았다. 한·일 경제계의 ‘미래 파트너십 기금’에 대해서는 강제징용과 무관한 기금으로 여론을 호도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고, 해당 기금에 일본 피고 기업이 참여한다는 보장도 없다. 윤 대통령은 이에 대한 국내의 반발 여론 등을 기사다 총리와의 교류를 기반으로 합의점을 찾겠다는 구상이다.
서종민 기자
관련기사
-
“반일정서 기댄 트집”vs“굴욕적 외교참사” 한일정상회담 결과 공방
-
이재명 “윤 정부, 일본 하수인의 길” 비난… 재판 출석전 ‘대여 총공세’
-
“일본 사과 진정성 여부 등 과제… 한일 주요현안 하나씩 풀어야”
-
홍준표 “2023 한일 국교 정상화…역사를 가슴 속에 묻어두자”
-
美 “한일협력 새 장 열었다”… 中은 “배타적 소그룹 반대”
-
한일, 반도체·배터리·전기차 ‘윈윈 협력’
-
대일 교역 ‘탄력’ … “수출 소요기간 3개월 → 1개월 단축”
-
회담 마친 尹-기시다, 韓소주+日맥주 ‘화합의 폭탄주’
-
윤 대통령, 일본 대학생 앞에서 ‘한일 미래 위해 노력해달라’ 당부한다
-
尹, 아소·스가 등 日 주요 정치인들 접견… 정치교류도 속도
-
국힘 “한·일 불신 장벽 무너져” vs 민주 “최악의 굴종외교”
-
김건희 여사 - 유코 여사, 화과자 함께 만들며 친교
-
尹·기시다 ‘저녁 2차’…日언론 “60대 정상들, 식욕이 끊이질 않았다”
-
회담 후 긴자식당서 부부 만찬한 한일정상…2차는 ‘생맥 독대’
-
김건희·유코 여사, 화과자 만들기 체험…日총리 공저 방문
-
日언론 “尹, 기시다에 레이더 조사 사건은 신뢰문제로 발생”
-
박지현 "尹, 을사오적 나란히" 고민정 "항복외교 심판 받을 것"
-
대통령실 “역대 최악 양국관계 개선 전환점” 자평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