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현재 52시간으로 한정된 주간 최대 근로 허용 시간을 늘리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지만, 국민들이 실제로 희망하는 주간 근무시간은 40시간도 채 안 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9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지난해 9월 20일부터 10월 7일까지 전국의 만 19~59세 2만2000명(취업자 1만7510명·비취업자 4490명)을 대상으로 벌인 ‘2022년 전국 일-생활 균형 실태조사’에 따르면, 취업자가 희망하는 주간 근로 시간은 36.70시간이다. 상용근로자는 37.63시간 근무를 원했다. 임시·일용 근로자는 희망 근무 시간이 32.36시간으로 더 짧았다.
나이가 어릴수록 희망 근무 시간은 짧아졌다. 20대 이하(19~29세)는 34.92시간, 30대는 36.32시간이라고 답한 데 비해, 40대는 37.11시간, 50대는 37.91시간으로 상대적으로 길었다. 또 미혼자는 35.46시간으로 기혼자(37.55시간)에 비해 희망 근무 시간이 짧았다.
실제 근무시간이 길수록 희망 근무시간도 길었지만, 주 52시간 넘게 일하는 경우만 따져봐도 희망 근무시간은 평균 44.17시간에 불과했다.
보고서는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중요시하는 문화의 확산 등으로 일하는 시간이 줄어들고는 있지만 한국은 여전히 장시간 노동국가”라며 “희망하는 근로시간을 고려하면 일하는 시간에 대한 관리가 꾸준히 필요해 보인다”고 강조했다.
권승현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