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술핵 상공폭발’ 위협
北 “핵전쟁 전략적 과업 제시”
800m는 최대 살상효과 높이
한·미·일 안보협력 강화 속
레드라인 넘는 핵위협 노골화
ICBM·7차핵실험 도발 가능성

북한이 지난 19일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발사한 단거리탄도미사일(SRBM)을 지상이 아닌 공중에서 폭발시킨 것으로 나타나 북한의 전술핵 능력이 실전 태세 단계로 접어들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특히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핵전쟁의 ‘전략적 과업’까지 제시하는 등 노골적으로 대남 위협에 나서, 한·미·일의 ‘레드라인(한계선)’을 넘는 추가 도발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20일 조선중앙통신은 지난 18일과 19일 실시된 전술핵 운용부대들의 ‘핵반격가상종합전술훈련’을 참관한 김 위원장이 “적들의 반공화국 침략 책동이 날로 가증되는 오늘의 형세는 우리의 핵전쟁억제력을 기하급수적으로 증대시킬 것을 절박하게 요구하고 있다”면서 ‘핵무력 건설의 중요 방향과 핵무력의 전쟁 준비에서 나서는 전략적 과업’을 제시했다고 전했다. 실제로 이번 전술훈련에서 북한은 지휘·통제 체계뿐만 아니라 실제 전술핵무기를 폭발시킬 수 있는 기술까지 검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은 전술탄도미사일을 800㎞ 사거리에 설정한 동해 목표 상공 800m에서 공중폭발시켜 핵 탄두부의 핵폭발 조종장치와 기폭장치의 동작을 검증했다고 주장했는데, 발표 내용대로라면 특정 고도에서 정확하게 폭발할 수 있는 기폭장치를 제작해 신뢰성을 확인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김 위원장이 한·미 연합연습 ‘자유의 방패’(프리덤실드·FS) 기간에 맞춰 전술핵 위협에 나선 이유에 대해 한반도의 알파독(Alpha Dog·우두머리 개)이 자신임을 내세우려는 의도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미·일 안보 협력과 북핵 3각 공조가 강화되는 시점에서 핵 무력 고도화를 통한 정면돌파에 나섰다는 해석이다. 국제사회로부터 핵보유국으로 인정받은 뒤 대북 경제제재 완화를 통해 ‘김씨 왕조’의 세습독재 체제를 공고히 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남 예속화까지 노린 행보라는 것이다. 과거 북한은 미 전략자산 전개나 한·미 연합훈련 중에는 대체로 도발을 자제해 왔지만, 지난해에 이어 올해엔 연쇄 도발을 이어가며 정면대결 모양새를 취하고 있다.
북한이 조만간 정상 각도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등 추가 도발에 나설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총장은 “북한은 전술핵탄도미사일 훈련의 성공을 기반으로 정찰위성, 정상 각도의 ICBM 발사 수순으로 나아갈 듯하다”며 “김 위원장의 뜻이 반영된 김여정의 담화를 이행하기 위해 4월 중 태평양으로 사거리를 축약한 정상 각도의 ICBM 발사가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한편 북한은 매체를 통해 김 위원장이 딸 주애와 함께 훈련을 참관하는 사진을 공개했는데, 김 위원장 옆 장성으로 추정되는 인물의 얼굴이 이례적으로 모자이크 처리돼 눈길을 끌었다. 전술핵운용부대를 총지휘하는 연합부대장으로 추측되는 해당 인물은 군복을 착용했지만, 다른 인물들과 달리 선글라스를 끼고 마스크를 착용하는 등 신원을 철저히 숨기는 모습이었다.
조재연 기자 jaeyeon@munhwa.com
관련기사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