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1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국회 물포럼 토론회’가 열렸다. 광주시청 제공
지난 21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국회 물포럼 토론회’가 열렸다. 광주시청 제공


‘국회물포럼’서 지속가능 물정책 제언 쏟아져


광주=김대우 기자



광주·전남지역이 50년 만의 최악 가뭄으로 신음하고 있는 가운데 국가 차원의 통합 물 관리로 가뭄 등 이상기후에 효율적이고 탄력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제언이 나왔다.

22일 광주시에 따르면 전날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국회 물포럼 토론회’를 개최했다. 국회 물포럼이 주최하고 대한상수도학회 등이 주관한 이날 토론회는 ‘세계 물의 날’(3월22일)을 기념하고 지속가능한 물정책 수립을 위해 마련됐다.

이날 토론회에서 기조연설을 한 황철호 광주시 정책보좌관은 "최근 5년 간 광주지역에서 기온상승, 급격한 강우 변동 등 예측이 어려운 기후변화 피해가 가속화하고 있다"며 "기후 위기대책이 선행되지 않으면 더 큰 위기가 닥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황 보좌관은 이를 위한 대책으로 물관리 유연화, 비상 연결성 강화, 예방투자 및 시민참여 강화 등을 제시했다.

황 보좌관은 "50년 만의 가뭄과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했을 때 빠르게 회복할 수 있는 비상공급망 구축 사업을 확대해야 한다"며 "광주호와 동복댐 인근 저수지 등 생활·농업·공업용수를 포괄 연결하는 사업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정용 환경부 물이용기획과장은 "물 인프라와 효율성 증대를 위한 국가 통합 물 관리 차원에서 수원 간 연계가 필요하다"며 "물 부족에 대비한 다각적인 수자원 개발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박준홍 한국물환경학회 회장(연세대 교수)은 "수도요금 현실화 제고 등을 통해 지속가능한 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제언했고 백기영 영산강네트워크 위원은 "대도시 평균보다 많은 광주시 물 소비 문화를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상하수도협회장인 강기정 광주시장은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물대책이 마련돼 신속히 실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대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