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 빈곤통계연보
자산 기준 10명 중 3명 ‘빈곤’
1인 가구 빈곤율이 50%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혼자 사는 노인 10명 중 7명은 빈곤 상태였고, 청년 1인 가구는 5명 중 1명이 빈곤층이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9일 이 같은 내용의 ‘2022년 빈곤통계연보’를 발표했다.
◇1인 가구 빈곤율, 전체의 3배 이상 높아…고령층·여성이 특히 높아
1인 가구 빈곤율(중위소득 50% 이하인 비율)은 47.2%로 조사됐다. 이는 2020년 전체 인구의 가처분소득 기준 상대 빈곤율(중위소득 50% 이하인 비율) 15.3%보다 3배 이상 높은 수치다.
1인 가구의 빈곤율은 2016년 54.0%였던 것이 2017년 52.1%, 2018년 52.7%, 2019년 51.8%로 꾸준히 내림세를 그렸고 2020년 50% 이하로 떨어졌다.
혼자 사는 사람의 빈곤율은 나이가 많을수록, 남성보다는 여성이 높았다.
65세 이상 노인 1인 가구의 빈곤율은 72.1%였다. 5년 전인 2016년의 78.4%보다는 6.3%포인트 낮아졌다.
중년층(50∼64세) 1인 가구 빈곤율도 38.7%로 전 연령대 평균보다 높았다. 장년층(35∼49세)은 19.5%, 청년층(19∼34세)은 20.2%였다.
혼자 사는 여성의 빈곤율은 55.7%로 남성(34.5%)보다 훨씬 높았다.
한국 사회에서 1인 가구는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 지난해 12월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2021년 1인 가구는 716만6000가구로 직전년보다 7.9%(52만2000가구) 늘었다.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 비중은 2021년 역대 최고치인 33.4%로 올랐다.
◇소득 상위 10%가 순자산 41% 보유
2021년 통계 기준 순자산(총자산 중 부채 제외)을 보면, 자산 상위 10%가 전체 자산의 40.8%를 갖고 있었다.
자산 상위 9분위와 8분위는 각각 17.9%, 12.6%를 차지했다. 전체 자산의 71.3%가 상위 30%에 몰려있는 셈이다.
자산 기준 빈곤율(중위 자산의 50% 미만 비율)은 29.2%였다.
자산 기준 빈곤율은 2016년 30.0%, 2017년 29.3%, 2018년 28.8%, 2019년 28.9%, 2020년과 2021년 각 29.2% 등으로 큰 변동이 없었다. 소득 기준 빈곤율이 하락 추세였던 것과 차이가 있다.
민정혜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