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오전 국회 본회의장을 견학 온 초등학생들이 전원위원회를 지켜보고 있다. 연합뉴스
13일 오전 국회 본회의장을 견학 온 초등학생들이 전원위원회를 지켜보고 있다. 연합뉴스

국회에 출입하는 정치부 기자 대부분은 선거제도 개편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자들 사이에선 현재 하나의 선거구에서 1명의 의원을 선출토록 하는 소선거구제보다는 한 선거구에서 2명 이상을 뽑을 수 있는 중대선거구제에 대한 선호도가 2배 이상 높았다.

국회의장실은 최근 국회의 선거제 개편 논의 과정을 취재해 온 국회 출입 기자 1150명 가운데 설문에 응한 609명(응답률 53.0%)의 답변을 취합해보니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13일 밝혔다. 구체적으로 선거제 개편이 필요하다는 응답자는 96.2%였다. 선거제 개편이 매우 필요하다는 응답은 56.5%, 대체로 필요하다는 응답은 39.7%였다. 선거제 개편이 필요한 이유로는 ‘정치 양극화 해소’가 67.5%(복수응답)로 가장 많았다. 이어 △국민의 다양성 반영(49.9%) △정책경쟁(46.5%) △비례성 강화(23.0%) △대표성 강화(13.1%) 순으로 응답했다.

구체적인 선거제 개편 방향으로는 현 소선거구제(30.0%)보다 중대선거구제(60.6%)를 선호했다. 중대선거구제보다도 한 지역구에서 선출하는 의원 수가 많은 대선거구제를 선호하는 비율은 9.4%였다. 대도시는 중대선거구제를 도입하고 농산어촌과 소도시는 소선거구제를 유지하는 도농복합선거구제 도입에는 77.3%가 찬성(반대 22.7%)했다. 도농복합선거구제는 정치 양극화를 완화하는 효과를 보이면서도 지역 소멸 대응에 효과적이라는 측면에서 선호도가 높았던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총선에서 처음 적용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개편 필요성에는 89.3%가 공감했다. 응답자의 80.0%는 종전과 같은 병립형 비례대표제 도입에 찬성했다. 이는 지난 총선 때의 ‘위성정당 논란’에 대한 거부감 때문으로 풀이된다. 비례대표 배분 방식으로는 현행 전국 단위(39.9%)보다 권역 단위(60.1%)를 선호했다.

비례대표 의원 수 확대에는 64.4%가 찬성했다. 그 방안으로는 현재 국회의원 정수 300명을 유지하면서 지역구 의석을 줄여 비례대표 비율 확대(55.1%)를 전체 의원 정수 확대(44.9%)보다 선호했다. 이번 조사는 95% 신뢰 수준에 표본오차 ±2.7%포인트다.

이해완 기자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