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망 점검 실무회의

환경차 핵심부품인 희토류 영구자석 제조기술에 대한 중국의 수출금지 조치가 국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가 위기 대응 시나리오를 마련하고 연구·개발(R&D)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

미국이 반도체로 중국에 대한 압박수위를 높여가자 중국이 희토류로 반격에 나선 가운데, 희토류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 수출에 치명적 악재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3일 오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2차 산업공급망 점검 실무회의’를 개최해 이 같은 내용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코트라는 이날 회의에서 “미·중 공급망 경쟁이 격화하고 있다”며 “최근 마이크론에 대한 인터넷 안보 심사나, 희토 영구자석 기술 수출금지 등 중국 공급망 현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중국이 전 세계 생산량의 70%를 차지하는 희토류는 총 17개 원소를 총칭하는데 전기차·재생에너지·스마트폰 제조 등에 널리 쓰여 ‘산업의 비타민’으로 불린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12월 수출금지·제한 기술목록을 발표하면서 네오디뮴과 사마륨코발트 등 희토류 영구자석 제조기술의 해외 이전·유출을 금지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채굴부터 생산까지 전 과정을 사실상 중국이 통제함으로써 공급망 패권을 주도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박수진 기자 sujininvan@munhwa.com
박수진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