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 4월 19일 시위 현장 사진.  문화재청 제공
1960년 4월 19일 시위 현장 사진. 문화재청 제공


국제자문委서 등재 권고 판정
내달 집행이사회서 최종 결정


4·19 혁명과 동학농민혁명 관련 기록 자료의 세계기록유산 등재가 확실시된다.

18일 문화재청에 따르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IAC)는 최근 열린 회의에서 ‘4·19 혁명 기록물’과 ‘동학농민혁명 기록물’을 심사한 결과, ‘등재권고’ 판정을 내렸다.

4·19 혁명 기록물은 1960년 4·19 혁명의 원인과 전개 과정, 혁명 직후 처리 과정을 보여주는 기록유산을 지칭한다. 국가기관과 국회·정당 자료, 언론 기사, 개인 기록, 수습 조사서, 사진과 영상 등으로 구성된다. 동학농민혁명 기록물은 1894년 일어난 동학농민혁명 당시 조선 정부와 동학농민군, 농민군 진압에 참여한 민간인, 일본공사관 등이 생산한 기록 전반을 아우른다.

최종 등재 여부는 다음 달 10∼24일 열리는 유네스코 집행이사회에서 결정된다. 올해 2건 모두 등재되면 한국이 보유한 세계기록유산은 ‘훈민정음’ ‘조선왕조실록’ ‘동의보감’ ‘5·18 민주화운동 기록물’ ‘조선왕실의 어보와 어책’ 등 총 18건이 된다.

박동미 기자 pdm@munhwa.com
박동미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