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남·동해안 지자체 대응
부산, 방사성물질 분석팀 꾸려
경남, 연 300회→1000회 검사
전남, 어류 정부매입안 등 추진
경북, 연안 수산물 소비촉진도
창원=박영수·부산=김기현 기자
일본 후쿠시마(福島)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 해양 방류 문제와 관련해 우리나라 전문가 시찰단이 오는 23∼24일 현장 시찰에 나설 예정인 가운데 부산, 경남 등 연안 지방자치단체들의 대응책 마련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연안 지자체들은 수산물 안전성 확보를 위해 방사성 물질 검사를 대폭 강화했고 방류 후 수산물 소비 위축 가능성에 대비해 양식어류 수매 등 어민 지원책도 준비 중이다.
전국 최대 수산물 유통도시인 부산시는 최근 행정부시장을 단장으로 한 ‘원전 오염수 방류 대응 전담팀(TF)’을 편성해 가동하고 있다고 12일 밝혔다. TF는 해수 방사능과 수산물 등 식품 방사능을 감시·분석하는 방사능 평가반을 비롯해 수산업계 피해 조사 및 지원책 마련을 위한 해양수산총괄반 등 4개 반, 13개 과로 구성됐다. 시는 방류 전·후와 방사성 물질 검출 농도 등 진행 상황에 따른 단계별 대응 방안도 마련했다. 또 실시간 첨단 해수 무인감시망장비인 고정형 해수 무인감시망 1기, 선박탑재 해수 무인감시망 1기, 식품·수산물 방사능 분석장비인 감마핵종 분석장비 1기 등 첨단 장비(5기)도 보강하기로 했다.
양식장이 밀집한 경남도도 원전 오염수 방류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도는 수산물 생산·출하 단계별 방사능 감시 체계를 구축하고 일본산 수입 수산물에 대한 유통 관리도 강화했다. 도는 수산물 방사능 검사를 연 300건에서 1000건으로 늘렸다. 수협 위판장 10곳에는 휴대용 방사능 측정 장비를 지원했다. 특히 오염수 방류 후 수산물 소비 부진에 대비해 수산물 수매를 정부에 건의할 계획이다.
전남도는 전담조직을 구성해 오염수 방류 전·중·후 단계별 대응계획을 수립했다. 도는 원전 오염수 방류 중 도내 해역의 방사능을 실시간 측정하고 생산 수산물 신뢰성 제고를 위해 친환경 ‘유기인증’ 확대(양식 면적 30%)를 추진하기로 했다. 방류 후 대책으로는 소비 위축에 대응하기 위해 대규모 소비 촉진행사와 피해보전금 지급 건의, 소비 위축 수산물 정부수매 건의 등의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전남도의 경우 양식 분야가 많아 유기인증 확대 등 단계별 대응방안을 마련해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북도 역시 지난달 14일 방사능 전문가, 수산안전 전문가, 해양환경전문가 등 19명으로 민관 합동 ‘후쿠시마 오염수 안전대응 TF’를 구성해 운영에 들어갔다. 도는 동해안 연안 해역에 대한 방사성 물질 감시망을 촘촘히 해 삼중수소, 세슘 등 원전 오염수 내 방사성 물질의 국내 해역 유입을 정부와 함께 면밀히 감시 중이다. 도는 수산물 판매 위축에 대비해 수산박람회와 소비 촉진행사도 개최해 수산물 판로를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