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한전 재무위기 등 고려
관계 부처 등과 협의 진행 중


정부가 심각한 재무 위기에 빠진 한국전력공사의 올해 한국에너지공대(한전공대) 출연 규모를 당초 계획된 약 1600억 원보다 줄이는 방향으로 논의를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전력산업기반기금을 활용한 정부 출연은 기존 310억 원 규모를 유지할 전망이다.

18일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 부처에 따르면, 정부는 한전의 재무 위기를 고려해 에너지공대에 대한 한전의 올해 출연 규모를 줄이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고 관계 부처 협의를 진행 중이다. 앞서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지난 11일 국회에 출석해 “한전 상황이 워낙 어렵기 때문에 에너지공대에 출연하는 것도 전면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며 출연 축소 가능성을 시사했다.

다만, 12일 한전이 발표한 25조 원대 자구 대책에 에너지공대 출연금 축소에 관한 언급은 없었다. 문재인 정부 때 설립이 추진된 에너지공대는 지난해 3월 전남 나주에서 개교해 현재 학부 1~2학년생 200명이 재학하고 있다.

개교 이후 정치권을 중심으로 개교 적법성 논란이 이어졌고, 감사원은 3월 시민단체의 공익감사 청구를 수용, 에너지공대와 한전 등을 대상으로 감사에 착수한 상태다. 2031년까지 에너지공대의 설립과 운영에 들어갈 비용이 1조6000억 원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한전은 주된 책임 기관이다. 한전과 10개 계열사는 2020∼2022년 3년간 이미 총 1724억 원의 출연금을 냈다. 2023년 1599억 원, 2024년 1321억 원, 2025년 743억 원 등 향후 3년간 3600억 원 이상을 더 내야 한다.

하지만 한전이 지난 2021년부터 올 1분기까지 45조 원대 역대급 적자를 기록한 상황에서 출연금 규모를 하향 조정하는 것은 불가피하다는 것이 정부의 판단이다. 다만 학생들이 재학 중인 상황에서 급격한 재원 삭감은 또 다른 부작용을 낳을 것이라는 우려가 있기에 정부는 축소 폭에 대해 신중히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별도로 중앙 정부가 전기요금을 걷을 때 3.7%를 부과해 조성하는 전력산업기반기금으로도 에너지공대 운영비와 특정 사업을 지원하고 있는데 올해 승인된 310억 원은 예정대로 집행하되 내년부터는 이 역시 축소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한편, 한국가스공사도 경영난 극복을 위해 15조 원대 자구책을 내놓은 가운데 1500억 원 규모의 추가 자금을 투자한 모잠비크의 ‘코랄 사우스’ 해상 부유식 액화설비(FLNG) 사업이 올 1분기 기준 3233만7000달러(약 432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수진 기자 sujininvan@munhwa.com

관련기사

박수진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