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상무, USTR 대표도 만나
양국 대화복원 실마리 주목
베이징 = 박준우 특파원 jwrepublic@munhwa.com
미국과 중국의 상무·통상장관이 다음 주 워싱턴DC에서 회동하고 양국 간 통상 현안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주미중국대사관이 18일 밝혔다. 반도체 수출 통제 예고 등 민감한 현안이 산적한 상황에서 이번 회담이 양국의 갈등 관리를 위한 안정적 소통 라인 마련의 물꼬가 될지 주목된다.
류펑위(劉鵬宇) 주미중국대사관 대변인은 이날 온라인 브리핑에서 “중국은 미국과 모든 수준에서의 소통에 열려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로이터는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 왕원타오(王文濤) 중국 상무부장이 내주 워싱턴DC에서 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장관을 만난 후 디트로이트로 이동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무역장관 회의에 참석한다고 전했다. 왕 상무부장은 오는 25∼26일로 예정된 이 회의에서 캐서린 타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도 만날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이 중국에 반도체 관련 수출을 통제하고 중국에 대한 투자도 제한할 예정인 가운데 두 나라가 안정적인 갈등 관리에 나설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미·중 관계는 지난 2월 중국 정찰풍선의 미국 영공 침범 이후 급격히 악화하면서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의 방중이 취소되는 등 고위급과 실무진의 대화가 사실상 끊겼다. 그러나 최근 제이크 설리번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이 오스트리아 빈에서 10∼11일 회동한 이후 해빙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한편, 중국은 산시(陝西)성 시안(西安)에서 18일부터 이틀간 시진핑(習近平) 주석 주재로 중국-중앙아시아 정상회의를 진행하며 세 과시 중이다. 시 주석은 지난 17일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과 회담을 시작으로 18일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참가한 5개국 정상과 잇달아 양자 회담을 하고,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시 주석은 이날 환영사에서 “우리의 공동의 노력으로 정상회의는 완전한 성공을 거두고 중국-중앙아시아 관계의 새 시대를 알릴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