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루 연기 25일 오후 6시 24분 발사 1시간 20분 만에 임무 성공 발표
차세대소형위성 등 8기의 위성 중 1기 제외, 550km 궤도에 성공적 분리 확인
“누리호의 3차 발사가 국민 여러분의 관심과 성원 속에 성공적으로 완료됐음을 보고합니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과 이상률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은 25일 저녁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옆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누리호 3차 발사 결과 브리핑에서 국내 우주 수송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독자 개발한 누리호 3차 발사가 국민의 관심과 성원 속에 마무리되었다고 발표했다.

이날 저녁 6시 24분 정각에 발사한 누리호가 비행을 종료한 후 항우연은 발사체 비행 정보를 담고 있는 누리호 원격수신정보(텔레메트리)를 초기 분석한 결과, 누리호가 목표 궤도에 투입돼 차세대소형위성 2호를 성공적으로 분리·안착시켰음을 확인했다. 또 부탑재위성인 큐브위성 6기의 경우 정상적으로 사출이 진행된 것을 확인했으나, 도요샛 4기 중 세 번째 1기의 경우 카메라 육안이나 신호로 사출 여부가 확인되지 않아 좀 더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누리호는 발사 후 정해진 비행시퀀스에 따라 비행 과정이 모두 정상적으로 진행됐다. 누리호 1, 2, 3단 엔진 모두 정상 연소하고, 위성 덮개(페어링)도 정상 분리돼 누리호에 탑재된 차세대소형위성 2호와 큐브위성 사출 과정까지 모두 마무리됐다. 또 오후 7시 7분쯤 남극 세종기지에서 차세대소형위성 2호의 비콘(Beacon) 신호가 수신됐음도 확인했다. 이후 26일 오전 5시 5분경부터 오후 7시 51분경까지 총 4회에 걸쳐 대전 KAIST 인공위성연구소 지상국과의 양방향 교신을 통해 위성의 상태를 세부적으로 확인해 나갈 예정이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앞으로 2027년까지 누리호를 3차례 반복 발사함과 동시에 누리호보다 성능이 향상된 차세대발사체 개발을 추진해 국제적인 경쟁력을 확보해나갈 것”이라며, “기업과 연구기관들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펼쳐나갈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 장관은 이어 “따뜻한 격려와 성원을 보내주신 국민 여러분과 누리호 3차 발사 준비를 위해 땀과 열정을 아끼지 않은 연구자, 산업체 관계자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탑재된 위성과의 교신 성공 여부는 다음날인 26일 오전 11시 최종 결과 브리핑을 통해 공식화될 전망이다.
이날 오후 6시 24분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지구 저궤도 550km 지점을 향해 날아오른 누리호는 발사 783초(13분 5초) 만에 목표 궤도에 도달, 주 탑재위성인 차세대 소형위성 2호를 성공적으로 분리한 후 20초 간격으로 져스텍, 루미르, 카이로스페이스와 도요샛 1~4호의 큐브(cube·초소형) 위성들을 차례로 사출하며 정상 궤도에 올렸으나 도요샛 3호의 경우 정상 사출 여부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누리호가 자력으로 실용급 위성을 발사하는 7번째 우주 국가로 대한민국을 끌어올리기까지 13년간 2조 원 이상의 예산이 투입됐다. 누리호 개발은 2010년 3월부터 시작됐으며, 250여명의 연구개발 인력이 총길이 47.2m, 중량 200t 규모의 누리호 설계와 제작에 매진했다. 이 과정에서 투입된 예산은 총 1조9572억원에 달한다. 중대형 액체로켓엔진과 대형추진체 탱크, 발사대 등 핵심 부품을 모두 우리 연구진과 기업이 만든 것으로, 외국 발사체에 의존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우주 개발사업에 나설 수 있다는 뜻이다.
노성열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