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남도가 차세대 원자력발전소(원전) 글로벌 제조거점 육성을 위해 2032년까지 민간자본을 포함해 2조5000억 원을 투자한다. 경남에는 두산애너밸리티를 포함해 300여 원전 관련 기업이 몰려 있어 이번 경남도의 원전산업 육성전략 추진에 따른 관련 기업의 수혜가 기대된다.
경남도는 지난해 8월부터 30여 명의 산학연 민간 전문가로 워킹그룹을 구성해 기업현장의 의견 등을 수렴, ‘원전산업 육성 중장기 종합계획’을 마련했다고 1일 밝혔다.
종합계획은 △제조혁신 클러스터 조성 △차세대 원전 제조혁신 기술개발 △글로벌 수출 강소기업 육성 등 3대 추진전략과 13개 중점과제로 짜였다. 세부적으로 2032년까지 글로벌 수출 강소기업 100개사 육성 등 목표 달성을 위한 41개 세부 사업을 실행한다. 이를 위해 2032년까지 총 2조5970억 원(국비 5875억 원, 지방비 951억 원, 민자 1조9144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우선 제조혁신클러스터 조성에 5000억 원이 투입된다. 대형 원전 중심의 산업에서 소형모듈원전(SMR), 4세대 원전, 원전해체, 사용 후 핵연료 저장 산업 등 차세대 원전산업으로 육성 분야를 확대한다. 또 원전기업의 신규투자와 역외 기업유치를 위해 지난 3월 후보지로 확정된 창원 방위·원자력 융합 국가산업단지(340만㎡·1조4000억 원)를 조기 조성하고 기업과 연구 인프라의 집적화한다.
차세대 원전 제조혁신 기술개발을 위해서는 SMR과 용융염원자로(MSR) 등 차세대 원전산업의 제조거점으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기술개발 등 28개 사업(7600억 원)을 추진한다.
수출 경쟁력 강화를 통한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에는 총 3286억 원이 투입된다. 경남도, 포스코기술투자, 한국수력원자력 등 10개 기관이 출자한 445억 원 규모의 ‘에너지혁신성장펀드’를 조성해 기업 투자를 활성화한다. 경영이 어려운 원전기업에 대해 2~3%의 대출이자를 지원하는 경남 원자력산업 육성 금융지원 자금을 올해 신설해 매년 500억 원 가량을 지원할 예정이다.
도는 이번 종합계획이 계획대로 실행되면 5조2996억 원의 생산유발 효과와 2조837억 원의 부가가치 유발 효과, 2만7123명의 고용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했다.
류명현 경남도 산업통상국장은 "지난 정부 탈원전 정책으로 경남 원전기업들이 직격탄을 맞았지만, 지난해 1조6000억 원 규모의 이집트 엘다바 원전 수주와 올해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 등으로 도내 원전기업에 새로운 활력을 가져올 것으로 본다"며 "경남의 강점인 원전 제조역량 제고를 통해 경남을 원전분야의 글로벌 제조거점으로 도약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