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수우려 주택 매입도 지지부진
시 “시민 협조 구해 속도낼 것”


서울시가 지난 5월 말까지 풍수해대책 관련 반지하주택 전수조사를 진행한 결과 침수방지시설 설치는 약 30%, 주거이전은 약 10% 완료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장마가 이달 하순부터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시의 반지하주택 침수 관련 대책의 실효성과 사업속도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시는 물막이판 설치와 반지하주택 이주가 신속히 진행될 수 있도록 시민들에게 협조를 구할 방침이다.

12일 시에 따르면 시는 5월 말 기준으로 반지하주택 침수방지시설 설치가 필요한 1단계 중증장애인 가구 204호 중 74호(36%), 2단계 아동·어르신 가구 437호 중 147호(34%), 3단계 침수 우려 가구 1만9700호 중 6089호(31%) 등에 침수방지시설 설치를 마쳤다. 주거이전 완료 가구는 1단계 희망가구 86호 중 9호(10%)와 2단계 희망가구 198호 중 17호(9%)로 집계됐다. 3단계 희망가구 6804호 중 이전 완료한 가구는 없으며 현재 700호(10%)의 주거이전절차가 진행 중이다.

시가 서울주택도시공사(SH)를 통해 매입한 침수 우려 주택은 5월 11일 기준 72곳(문화일보 5월 23일 자 1면 참조)에서 지난 5일 기준 98호로 늘었지만 목표치가 3450곳인 것을 고려하면 여전히 미흡한 사업속도를 보이고 있다. 시는 이와 관련해 반지하 건축물 매입 기준을 완화하고 접수·심의 절차를 개선하며 시민들에게 물막이판 설치와 반지하 이주에 대한 협조를 구할 계획이다.

아울러 시는 올해부터 시행하기로 한 ‘침수 예·경보제’와 침수 예·경보가 발령되면 인근 주민이 반지하에 사는 재해 약자를 대피시키는 ‘동행파트너’ 제도도 착오 없이 실행할 방침이다.

이정민·김군찬 기자
이정민
김군찬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