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적 수익원 확대에 도움”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14일 “여신전문금융회사(여전사)들은 치열해지는 경쟁 환경과 변동성 높은 경제 상황 속에서 또 다른 성장동력을 고민해야 할 때”라며 “경험이 풍부한 신흥국에서 선진 결제 시스템을 이식하고 자금공급 역할을 다해 영향력을 확대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 부위원장은 이날 오전 서울 중구 여신금융협회에서 열린 ‘여전사 글로벌 진출 활성화를 위한 간담회’에 참석해 “지난달 다녀온 키르기스스탄 해외진출 현장에서 국내 여전사들의 글로벌화 가능성을 봤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번 간담회는 금융위가 3월부터 금융투자업, 핀테크, 보험업 등 업권별로 진행 중인 글로벌화를 위한 릴레이 세미나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김 부위원장은 국내 여전시장에 대해 체질개선을 통해 안정적인 사업 성장을 이뤄왔지만, 최근 핀테크 등과의 경쟁 심화,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에 따른 변동성 확대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성장동력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디지털화는 기존에 금융 인프라가 부족한 국가들에도 디지털 방식의 결제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자금공급 가능성을 확대하고 있다”면서 “아직 진출 초기 단계인 시장의 경우 각종 리스크 관리에 유념해야 하지만, 성공적으로 안착할 경우 향후 발전 가능성이 큰 시장인 만큼 국내 금융회사의 지속적인 수익원 확대 및 다양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흥국 시장으로의 여전업계 진출을 강조한 것이다. 그는 “대출자의 신용도 파악이 어려운 시장일수록 신용공급은 사회적으로 더 많은 가치를 가지는 만큼 현지 시장의 금융 선진화 달성에도 기여하고, 이는 다시 한국 금융회사들의 추가적인 진출을 촉진하는 긍정적인 효과도 가져올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아시아 국가의 여전업 라이선스 제도 발표와 BC카드, KB국민카드 등의 해외진출 사례 소개가 진행됐다. 패널토론에서는 해외투자를 위한 국내 금융당국 보고·공시 등 관련 규제 간소화, 금융당국의 해외 현지 금융당국의 규제개선 논의 지원 등이 건의됐다.
박정경 기자 verite@munhwa.com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14일 “여신전문금융회사(여전사)들은 치열해지는 경쟁 환경과 변동성 높은 경제 상황 속에서 또 다른 성장동력을 고민해야 할 때”라며 “경험이 풍부한 신흥국에서 선진 결제 시스템을 이식하고 자금공급 역할을 다해 영향력을 확대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 부위원장은 이날 오전 서울 중구 여신금융협회에서 열린 ‘여전사 글로벌 진출 활성화를 위한 간담회’에 참석해 “지난달 다녀온 키르기스스탄 해외진출 현장에서 국내 여전사들의 글로벌화 가능성을 봤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번 간담회는 금융위가 3월부터 금융투자업, 핀테크, 보험업 등 업권별로 진행 중인 글로벌화를 위한 릴레이 세미나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김 부위원장은 국내 여전시장에 대해 체질개선을 통해 안정적인 사업 성장을 이뤄왔지만, 최근 핀테크 등과의 경쟁 심화,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에 따른 변동성 확대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성장동력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디지털화는 기존에 금융 인프라가 부족한 국가들에도 디지털 방식의 결제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자금공급 가능성을 확대하고 있다”면서 “아직 진출 초기 단계인 시장의 경우 각종 리스크 관리에 유념해야 하지만, 성공적으로 안착할 경우 향후 발전 가능성이 큰 시장인 만큼 국내 금융회사의 지속적인 수익원 확대 및 다양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흥국 시장으로의 여전업계 진출을 강조한 것이다. 그는 “대출자의 신용도 파악이 어려운 시장일수록 신용공급은 사회적으로 더 많은 가치를 가지는 만큼 현지 시장의 금융 선진화 달성에도 기여하고, 이는 다시 한국 금융회사들의 추가적인 진출을 촉진하는 긍정적인 효과도 가져올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아시아 국가의 여전업 라이선스 제도 발표와 BC카드, KB국민카드 등의 해외진출 사례 소개가 진행됐다. 패널토론에서는 해외투자를 위한 국내 금융당국 보고·공시 등 관련 규제 간소화, 금융당국의 해외 현지 금융당국의 규제개선 논의 지원 등이 건의됐다.
박정경 기자 verite@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