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뉴시스


서울대병원 전문의 모집결과
8차공고 응급의학 13명 미달


국내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는 서울대병원에서도 외과 전문의를 11차례나 모집한 끝에 계획한 정원을 채운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의학과, 내과, 소아청소년과도 전공의 모집을 위해 수차례 공고를 내는 등 필수의료 분야 붕괴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이에 비해 성형외과 등 인기 분야는 단 한 번의 공고로도 전공의 모집에 성공했다.

14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강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서울대병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진료과별 전문의 지원 및 모집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대병원은 외과 전문의를 11차례에 걸쳐 모집했다. 외과의 경우 수술 위험 부담이 큰 반면 보상은 적다는 인식이 확산하면서 서울대병원조차 구인난에 시달린 것이다. 병원은 결국 11번의 시도 끝에 당초 계획보다 1명 많은 47명을 확보할 수 있었다.

다른 비인기 진료과목도 지원자 급감으로 비슷한 상황을 겪었다. 지난해 외과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모집 공고를 낸 진료과목은 내과로, 9차례에 걸쳐 지원자를 받았다. 병원은 당초 내과 의사 82명을 모집하려고 했으나 75명이 지원해 72명이 합격했다. 응급의학과는 상황이 더 심각해, 24명을 모집했지만 8차례 모집 공고를 냈음에도 지원자가 11명에 불과했다. 결국 10명이 채용돼 당초 계획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흉부외과와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는 각각 5차례 전공의를 모집하고 나서야 필요 인원을 채웠다. 반면 인기 진료과목으로 꼽히는 성형외과는 추가 채용 없이 단 한 차례 만에 계획했던 모집 인원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됐다. 피부과, 정형외과도 한 해 2차례 모집만으로 인원이 채워져 진료과목별 지원자 양극화가 두드러졌다.

인지현 기자 loveofall@munhwa.com
인지현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