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왕국’ 일본에서 치매로 실종되는 사람이 계속 늘고 있다. 초고령화 사회에 접어든 한국 역시 미래 비슷한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이는 만큼 관련 대책 마련에 힘을 모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마이니치(每日) 신문에 따르면 작년 한 해 경찰에 신고된 인원은 1만8709명으로 2012년(9607명)보다 거의 2배로 늘었다. 헤당 문제에 오랜 세월 임해 온 치매 연구 도쿄 센터의 나가타 쿠미코(永田久美子) 부소장은 "매우 심각한 인원수"라며 "1년에 491명이나 목숨을 잃는 현상을 사회 전체가 바꿔야 한다"고 지적했다.
나카타 부센터장은 개개인의 치매 실종 케이스로부터 대응책을 배워야 한다고 했다. 실제 실종자의 당시 상황과 심경을 들어보면 다양한 대책이 구체적으로 언급된다. 나가타 부소장은 "생활 속에서 일어나는 일이므로 지자체가 책임을 가지고 대책을 마련해줬으면 한다"라고 강조했다.
실제 일본의 실종자는 중증보다 치매 초기 단계인 사람이 많다. 앞으로는 길을 잃었을 때를 대비해 자신의 정보와 희망사항을 주변에 전달할 수 있는 카드를 들고 나가는 등 자력으로 스스로를 지키는 것도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자유롭게 외출해 무사히 집에 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치매환자를 집 등에 가두는 것은 역효과가 난다고 한다. 나가타 부소장은 "(치매 실종 환자를) 찾기 위해서 IT를 사용하는 움직임은 있지만, 역시 사람과의 관계가 생명선이 된다"며 "거리에서 궁금한 사람을 보면 그냥 지나치지 말고 살며시 말을 걸어 본인이 말하기를 기다리면 좋겠다. 이런 작은 것들이 큰 힘이 된다. 치매 노인 실종을 막으려면 사회 모두의 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