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천화동인 수사’ 마무리 단계 수순
대장동 마무리 퍼즐 ‘428억 약정’ 조준
범행동기 규명 후 李 추가 기소할 듯
검찰이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과 관련해 배임 등 혐의로 기소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게 마지막으로 남은 퍼즐인 대장동 수익 ‘428억 원 약정’ 의혹을 정조준하며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검찰은 이와 관련해 지난주 대장동 일당인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남욱 변호사·정영학 회계사를 같은 날 동시에 소환해 이 대표 수뢰 의혹을 재차 캐물었다. 428억 원 약정 의혹은 지난 3월 배임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이 대표의 범행 동기가 되는 만큼 검찰의 기소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다.
27일 문화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지난주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1·3부(부장 엄희준·강백신)는 유 전 본부장과 남 변호사, 정 회계사를 같은 날 동시에 소환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장동 특혜 개발 수익인 천화동인 1~7호의 자금을 동결하고 최근 천화동인 7호에 대한 강제수사에도 착수한 만큼, 핵심인 천화동인 1호 지분 일부인 428억 원 실소유주 의혹에도 속도를 내는 것이다. 이날 수사팀은 세 사람을 상대로 이 대표가 천화동인 1호 지분 428억 원 상당을 약정받았다는 의혹(부정처사 후 수뢰)을 물었고, 과거 이들이 수사 과정에서 진술했던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이들은 수사·재판 과정에서 “대장동 428억 원은 이 대표와 정진상 전 성남시 정책실장(전 민주당 대표실 정무조정실장), 김용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을 위한 것”이란 취지로 진술했다. 지난 3월 수사팀 조사를 받은 정민용 전 성남도공 전략사업실장도 “검찰 수사가 이뤄지기 전인 2016~2017년 유 전 본부장, 남 변호사로부터 각각 ‘428억 원은 이 대표 몫’이라고 들었다”고 진술했다.
이 대표가 대장동 민간 개발업자들로부터 천화동인 1호 지분 일부인 428억 원을 받기로 했다는 ‘428억 원 약정’ 의혹은 대장동 특혜 개발을 둘러싸고 이 대표의 남은 의혹이다. 수사팀은 지난 3월 이 대표가 대장동 일당에 특혜를 몰아줘 성남시에 수천억 원대 손해를 입혔다고 보고 배임 등 혐의로 기소했지만, 428억 원 약정 의혹 부분은 함께 기소하지 못했다. 이 대표 최측근인 정 전 실장과 김 전 부원장,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 씨가 연관성을 강하게 부인하고 있기 때문이다. 법조계에선 수사팀이 결국엔 이 대표의 남은 의혹인 428억 원 약정 의혹도 기소하지 않겠냐는 관측이 나온다. 428억 원 수뢰 의혹은 이 대표의 배임죄 범행 동기에 해당돼 수뢰 혐의 기소가 이뤄져야 이 대표 배임 혐의에 힘이 실릴 수 있다.
염유섭·김무연 기자
대장동 마무리 퍼즐 ‘428억 약정’ 조준
범행동기 규명 후 李 추가 기소할 듯
검찰이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과 관련해 배임 등 혐의로 기소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게 마지막으로 남은 퍼즐인 대장동 수익 ‘428억 원 약정’ 의혹을 정조준하며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검찰은 이와 관련해 지난주 대장동 일당인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남욱 변호사·정영학 회계사를 같은 날 동시에 소환해 이 대표 수뢰 의혹을 재차 캐물었다. 428억 원 약정 의혹은 지난 3월 배임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이 대표의 범행 동기가 되는 만큼 검찰의 기소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다.
27일 문화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지난주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1·3부(부장 엄희준·강백신)는 유 전 본부장과 남 변호사, 정 회계사를 같은 날 동시에 소환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장동 특혜 개발 수익인 천화동인 1~7호의 자금을 동결하고 최근 천화동인 7호에 대한 강제수사에도 착수한 만큼, 핵심인 천화동인 1호 지분 일부인 428억 원 실소유주 의혹에도 속도를 내는 것이다. 이날 수사팀은 세 사람을 상대로 이 대표가 천화동인 1호 지분 428억 원 상당을 약정받았다는 의혹(부정처사 후 수뢰)을 물었고, 과거 이들이 수사 과정에서 진술했던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이들은 수사·재판 과정에서 “대장동 428억 원은 이 대표와 정진상 전 성남시 정책실장(전 민주당 대표실 정무조정실장), 김용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을 위한 것”이란 취지로 진술했다. 지난 3월 수사팀 조사를 받은 정민용 전 성남도공 전략사업실장도 “검찰 수사가 이뤄지기 전인 2016~2017년 유 전 본부장, 남 변호사로부터 각각 ‘428억 원은 이 대표 몫’이라고 들었다”고 진술했다.
이 대표가 대장동 민간 개발업자들로부터 천화동인 1호 지분 일부인 428억 원을 받기로 했다는 ‘428억 원 약정’ 의혹은 대장동 특혜 개발을 둘러싸고 이 대표의 남은 의혹이다. 수사팀은 지난 3월 이 대표가 대장동 일당에 특혜를 몰아줘 성남시에 수천억 원대 손해를 입혔다고 보고 배임 등 혐의로 기소했지만, 428억 원 약정 의혹 부분은 함께 기소하지 못했다. 이 대표 최측근인 정 전 실장과 김 전 부원장,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 씨가 연관성을 강하게 부인하고 있기 때문이다. 법조계에선 수사팀이 결국엔 이 대표의 남은 의혹인 428억 원 약정 의혹도 기소하지 않겠냐는 관측이 나온다. 428억 원 수뢰 의혹은 이 대표의 배임죄 범행 동기에 해당돼 수뢰 혐의 기소가 이뤄져야 이 대표 배임 혐의에 힘이 실릴 수 있다.
염유섭·김무연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