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안부, 2022년 기준 지자체 여성공무원 인사 통계 발표
양성평등 채용목표로 추가 합격한 공무원은 남성 더 많아
전국 지방자치단체 여성 공무원 비율이 49.4%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부산, 서울,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도 등 7개 시·도에서는 여성 비율이 절반이 넘는다.
행정안전부는 2일 2022년 기준 전국 지자체 243곳의 여성 공무원 인사 통계를 발표했다. 지자체 여성 공무원은 49.4%(15만2509명)로 2021년(14만5379명·48.1%)보다 1.3%포인트 늘었다. 광역단체와 기초단체를 모두 포함해 여성 공무원 비율이 높은 지역은 부산(55.1%), 서울(53.2%), 인천(52.7%) 순이다.
다만 5급 이상 관리자급 공무원 가운데 여성 비율은 아직 낮다. 지자체 5급 이상 2만5908명 중 여성은 7109명으로, 전년(6171명)보다 늘었으나 전체 비중은 27.4%에 그쳤다. 지역별로는 부산이 40.6%로 가장 높고, 울산(36.4%), 광주(33.1%)가 그 뒤를 이었다. 대체로 도 단위보다는 광역시에서 강세 현상이 뚜렷했다.

한편 양성평등 채용목표제로 추가 합격한 공무원은 남성이 323명, 여성 71명으로 남성이 더 많았다. 양성평등 채용목표제는 여성 또는 남성이 시험 실시 단계별로 선발 예정 인원의 30% 이상이 될 수 있도록 인원을 초과해서 합격시킬 수 있는 제도다.
출산휴가자 수는 전년도 6277명에서 7050명으로 증가했다. 육아휴직자 수도 1만6603명에서 1만7234명으로 늘었다. 이 중 남성 육아휴직자 수는 전년도 3780명에서 4334명으로 14.7% 늘었다.
장재선 선임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