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식물가 상승률 7~8% 달해
지난해 소비 증가에 반작용도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이후 회복세를 보이던 음식점·주점업 소비가 1년 반여 만에 다시 감소세로 전환했다. 지난해 소비 증가 폭이 높았던 기저효과에 더해 높은 외식 물가가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다. 최근 2개월 연속 2%대에 진입하는 등 둔화세가 지속하는 물가상승률이 폭우와 폭염 등 이상기후 여파가 본격화하는 8월부터는 상승세로 다시 돌아설 수 있다는 전망이 잇따르면서 외식업계를 중심으로 내수가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음식점·주점업 소매판매액 지수(불변지수)는 1년 전보다 13.4% 줄었다. 이는 2021년 1분기 14.1% 감소한 뒤로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수치다. 음식점·주점업 소비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지난 2020년 1분기부터 2021년 3분기까지 7분기 연속 뒷걸음질 쳤다가 2021년 4분기 다시 반등하기 시작했다. 증가세는 올해 1분기까지 6분기 연속 계속됐으나 2분기부터는 다시 큰 폭으로 곤두박질쳤다. 음식점·주점업 생산지수 역시 주춤하고 있다. 2분기 음식점 및 주점업 생산지수(불변지수)는 1년 전보다 3.5% 줄면서 2021년 4분기 이후 7분기 연속 증가에 제동이 걸렸다. 음식점·주점업 소비가 감소세로 전환한 배경에는 높은 외식 물가가 자리하고 있다. 외식 물가는 지난해 3분기 21년 만에 최대 폭인 8.7%나 상승하면서 정점을 찍었고, 올해 2분기까지 7∼8%의 높은 증가 폭을 이어갔다.
다행히 지난달 외식 물가는 5.9% 상승하며 지난해 1월(5.5%) 이후 18개월 만에 최저 상승 폭을 기록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곡물·원자재 수급이 불안정한 데다 올여름 기록적인 폭우와 폭염 등 이상기후까지 겹치면서 외식 물가를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가 여전하다. 실제로 집중호우 여파로 7월 상추(83.3%)·시금치(66.9%)·오이(23.2%)·열무(55.3%) 등의 농축산물 가격은 전월보다 크게 뛰었다. 코로나19 확산세가 한풀 꺾이면서 지난해 2분기 음식점·주점업 소비 수준이 높았던 점도 올해 2분기 음식점·주점업 소비 감소 폭을 키운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전세원 기자 jsw@munhwa.com
지난해 소비 증가에 반작용도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이후 회복세를 보이던 음식점·주점업 소비가 1년 반여 만에 다시 감소세로 전환했다. 지난해 소비 증가 폭이 높았던 기저효과에 더해 높은 외식 물가가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다. 최근 2개월 연속 2%대에 진입하는 등 둔화세가 지속하는 물가상승률이 폭우와 폭염 등 이상기후 여파가 본격화하는 8월부터는 상승세로 다시 돌아설 수 있다는 전망이 잇따르면서 외식업계를 중심으로 내수가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음식점·주점업 소매판매액 지수(불변지수)는 1년 전보다 13.4% 줄었다. 이는 2021년 1분기 14.1% 감소한 뒤로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수치다. 음식점·주점업 소비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지난 2020년 1분기부터 2021년 3분기까지 7분기 연속 뒷걸음질 쳤다가 2021년 4분기 다시 반등하기 시작했다. 증가세는 올해 1분기까지 6분기 연속 계속됐으나 2분기부터는 다시 큰 폭으로 곤두박질쳤다. 음식점·주점업 생산지수 역시 주춤하고 있다. 2분기 음식점 및 주점업 생산지수(불변지수)는 1년 전보다 3.5% 줄면서 2021년 4분기 이후 7분기 연속 증가에 제동이 걸렸다. 음식점·주점업 소비가 감소세로 전환한 배경에는 높은 외식 물가가 자리하고 있다. 외식 물가는 지난해 3분기 21년 만에 최대 폭인 8.7%나 상승하면서 정점을 찍었고, 올해 2분기까지 7∼8%의 높은 증가 폭을 이어갔다.
다행히 지난달 외식 물가는 5.9% 상승하며 지난해 1월(5.5%) 이후 18개월 만에 최저 상승 폭을 기록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곡물·원자재 수급이 불안정한 데다 올여름 기록적인 폭우와 폭염 등 이상기후까지 겹치면서 외식 물가를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가 여전하다. 실제로 집중호우 여파로 7월 상추(83.3%)·시금치(66.9%)·오이(23.2%)·열무(55.3%) 등의 농축산물 가격은 전월보다 크게 뛰었다. 코로나19 확산세가 한풀 꺾이면서 지난해 2분기 음식점·주점업 소비 수준이 높았던 점도 올해 2분기 음식점·주점업 소비 감소 폭을 키운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전세원 기자 jsw@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