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 묻지마 범죄
카뮈 ‘이방인’
사람을 죽여놓고 죄책감은커녕 관심도 없는 반사회적 괴물 ‘뫼르소’
인간말종 영원한 격리 단죄하기 전 그의 삶 헤아렸나

취조실을 찾은 예심판사는 뫼르소에게 묘한 흥미를 느꼈다. “당신의 행위에는 내 이해 범주를 벗어나는 것들이 있소” “첫 번째와 두 번째 사격 사이에 왜 기다렸나요?” 뫼르소는 침묵했고, 예심판사를 동요시켰다. “무엇 때문에 당신은 땅바닥에 쓰러진 몸에 총을 쏜 겁니까?” 예심판사가 윽박지르며 밀어붙였지만, 뫼르소는 끝내 입을 열지 않았다. 그는 아랍인에 대한 적개심이나 친구에 대한 복수심이 없었다. 합리적 이유 없이 방아쇠를 당긴 것이다. 유일한 이유라면, 불길처럼 벌겋게 파열하는 태양, 모래와 조가비, 유리 조각, 그리고 아랍인이 내밀었던 단검에 반사돼 파열하는 칼날같이 날카로운 태양 때문이었다. 그것에 그의 온 존재가 팽팽해져 손에 쥐어져 있던 권총의 방아쇠가 당겨졌던 것이다.
뫼르소는 삶에 대한 허무 의식에 빠져 있었다. “오늘 엄마가 죽었다. 아니 어쩌면 어제일지도 모른다”고 말할 정도로 타인에 대해서도 무관심으로 일관했다. 장례식에서 그는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이나 슬픔보다는 장례식 환경과 기후에서 느끼는 짜증과 피곤함에 지배를 받았다. ‘자기 나랑 결혼할래?’ 여자친구가 묻자, ‘그래도 상관없어. 자기가 원하면 결혼할 수도 있지, 뭐’라고 답하고, ‘그러면 자기 나 사랑해?’라고 되물으니 ‘그런 말은 아무 의미도 없어. 하지만 아마 사랑하지는 않는 것 같아’라고 답한다.
뭐 이런 놈이 다 있나 싶을 정도로 반사회적 인물이다. 그러니 자로 잰 듯 반듯하게 이성적인 예심판사 눈에는 흥미롭고 이해 안 되는 존재일 수밖에. 요즘 말로 하면 “갑자기 어디서 툭 튀어나왔는지 모를 괴물”인 셈이다. 사람을 죽여 놓고도, 죽은 사람에 대한 죄책감은커녕 그 어떤 관심도 없다. 재판에도, 자신의 형량에도 각별한 관심을 두지 않는다. 그의 변호사조차 혀를 내두른다. “건전한 사람들도 누구나 사랑하는 사람들의 죽음을 조금씩은 바란 적이 있지 않나요?”라는 말에 질색하고 만다. “당신의 영혼처럼 굳어버린 영혼은 결코 본 적이 없소.” 예심판사는 뫼르소를 인간말종 취급한다. 그럴 만도 하다.
다 알다시피, 이것은 프랑스의 소설가 알베르 카뮈의 ‘이방인’에 나오는 이야기다. 소설의 1부에서는 일상에서 무난히 지내는 것만 같은 뫼르소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의 여러 행동은 다소 이상한 구석이 있긴 하지만,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인 허무 의식과 삶에 대한 피로감에 바탕을 두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1부의 마지막 지중해의 정오에 벌어진 사건은 그를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사법 체계 속으로 끌어들인다. 소설의 2부는 결국 뫼르소를 함께 살아갈 수 없는 ‘이방인’ 아니 비정상적인 ‘괴물’로 단정하고 사회로부터 영원히 격리한다.

김헌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교수
주요뉴스
시리즈
이슈NOW
-
관련기사
57[속보]이 대통령 ‘잘할 것’ 65%·‘잘못할 것’ 24%…민주 45%·국힘 23%-NBS
[속보]이재명 시계 만든다…李 “제작 지시, 기대해주셔도 좋다”
-
관련기사
27尹 오늘 2차 소환 불응…경찰 “일과 끝날 때까지 기다릴 것”
‘비화폰 삭제 의혹’ 尹 전 대통령, 경찰 소환조사 불응 방침
-
관련기사
104‘안미경중’ 경고 이어… 미, 이재명 대통령에 ‘中 거리두기’ 요구
투표율 79.4%, 1997년 이후 최고치… 광주 83.9%로 1위·제주 74.6% 최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