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얼굴)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북한의 핵미사일을 한반도는 물론, 인도·태평양 지역의 중대한 안보위협으로 지목하면서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과 안보협력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국제사회 노력에 아세안이 적극 동참해 달라고 발언한 것으로 전해졌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자카르타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을 언급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례 한·미·일 인도·태평양 대화를 발족했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구체적으로 아세안 각국에 △북한 노동자 송출에 대한 통제 △가상자산 탈취 제재 등을 통해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자금줄 차단에 동참해줄 것을 촉구했다. 윤 대통령은 “아세안과 태평양 도서국의 해양 안보 역량을 지원하는 ‘한·미·일 해양 안보 협력 프레임워크’도 새롭게 출범시켰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이날 한·미·일 3국 협력 체계를 기반으로 ‘한·아세안 연대 구상’(Korea-ASEAN Solidarity Initiative, KASI)의 충실한 이행 방침을 밝혔다. 이는 △한·아세안 외교당국 전략대화 △한·아세안 국방장관회의 정례화 등을 통해 한국과 아세안 간 전략적 공조를 심화해 나가자는 취지의 구상이다. 윤 대통령은 “한·미·일 3국은 아세안이 주도하는 지역 구조에 대한 전적인 지지를 바탕으로 (아세안) 각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을 조율하고 신규 협력 분야를 발굴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윤 대통령은 ‘2030 부산세계박람회’에 대한 지지도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2014년과 2019년 두 차례에 걸쳐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개최한 도시인 부산이 다시 한번 인도·태평양 지역과 전 세계 인류의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나가는 데에 기여할 수 있도록 관심과 지지를 요청한다”며 “한·아세안의 공동 번영을 향해 함께 나아가자”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