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수산물 유통 전 방사능 검사를 완료하는 ‘신속 검사’는 수협 위판장을 통한 거래에만 실시하지만, 수협 경매를 통하지 않는 물량이 최근 5년간 전체 수산물 유통의 59%를 차지한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에 대해 국내에서 생산되는 수산물 안전을 3중으로 철저히 확인하고 있다고 정면으로 반박했다.

해양수산부는 8일 "국내 해역 200개 정점 방사능 검사와 생산 단계 및 유통 단계 수산물에 대한 방사능 검사를 통해 국내 해역에서 생산되는 수산물 안전을 3중으로 철저히 확인하고 있다"며 "수협 경매를 거치지 않고 유통되는 수산물도 정부가 방사능 검사를 통해 안전을 철저히 확인하고 있는 국내 해역에서 생산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해수부는 또 "양식산(패류, 해조류 등)의 경우, 생산량·출하 시기를 고려하여 생산 해역별로 주기적인 출하 전 방사능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며 "연근해산의 경우, 모든 조업 해역과 위판장에서 직접 수산물을 수거해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나아가 우리나라 위판 물량의 대부분을 처리하는 위판장을 대상으로는 유통 전 신속검사까지도 실시해 연근해수산물 안전성을 보다 강화해서 확인하고 있다"며 "국내에 반입된 원양어획물은 냉동 창고 등에서 수거하여 방사능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해수부는 "뿐만 아니라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제도’를 통해 국민이 신청한 지역별 수산물에 대해 방사능 검사를 진행하고 결과를 알려드리는 등 국민과 어업인이 언제든지 우리 수산물 안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며 "정부는 2011년 3월부터 현재까지 연근해산, 양식산, 원양산 수산물에 대한 생산, 유통단계 방사능 검사를 8만 건 이상 진행했지만, 부적합 사례는 단 한 건도 없었다"고 밝혔다.

조해동 기자
조해동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