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49일째를 맞은 김영호(사진) 통일부 장관이 14일 “통일 그 자체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어떠한 통일이냐, 무엇을 위한 통일이냐에 무게중심을 둬야 한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지난 13일 정상회담을 연 북한과 러시아에 대해서는 “스스로 고립을 자처하는 불법적이고 무도한 행위를 중단하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등 국제 규범을 준수하라”고 촉구했다.
김 장관은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남북관계관리단 회담장에서 출입기자단과 가진 첫 기자간담회에서 “기존의 통일 논의는 우리 헌법적 가치에 근거한 한반도의 미래를 명확히 보여주지 못했다”며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입각한 통일이라는 분명한 방향성을 갖고 통일 미래를 그려 나가겠다”고 말했다. 특히 지난달 한·미·일 정상회의 성명에 포함된 ‘자유롭고 평화로운 통일 한반도’ 비전에 대해 김 장관은 “다자 정상회담에서 여러 해외 정상이 우리의 통일 비전을 지지한 것은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라며 “한반도의 자유 통일 담론을 확장시키는 데 중요한 기점이 됐다”고 평가했다.
김 장관은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해 “지난 정부는 남북관계 개선에 치중한 나머지 북한 인권 문제에 침묵했다”며 “이제는 우리가 앞장서서 북한 인권 개선을 선도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북한 인권 개선에 뜻을 같이하는 모든 주체가 참여하고 실천하는 확장성을 가질 수 있도록 민간·국제사회와 지속적으로 소통해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북·러 간 무기협력은 한반도뿐 아니라 전 세계의 평화와 안정에 심각한 위협이 된다고 보고 있다”며 “긴밀한 한·미 동맹을 바탕으로 어떠한 불법적 무기거래나 군사협력도 규탄하고 저지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