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휴대전화로 정보 제공

오는 12월부터 고령층과 시청각장애인 등 정보 취약계층이 반창고, 마스크, 생리대 등 의약외품을 살 때 휴대전화로 주의 사항 등 정보를 확인하기 쉬워진다. ‘의약외품 간편검색서비스’가 시행되면서 의약외품 바코드를 휴대전화로 스캔하면 점자와 음성, 수어 영상 등으로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20일 충북 충주시 유한킴벌리 충주공장을 방문해 의약외품 간편검색서비스 준비 상황을 점검했다. 유한킴벌리는 생리대에 점자와 음성·수어영상변환용 바코드를 표기하고 있다. 이 서비스는 지난 6월 식약처가 발표한 ‘규제혁신 2.0’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날 오 처장은 시청각장애인들과 함께 스마트폰으로 바코드를 직접 스캔해 생리대 허가사항 등 안전 정보를 확인하고, 의견도 청취했다. 오 처장은 “생리대 등 의약외품은 국민이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만큼 누구나 쉽게 제품에 대한 안전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동안 고령층과 시청각장애인은 마스크와 반창고 등 의약외품을 살 때 주변 도움 없이 제품의 효능과 효과, 주의사항 등 정보를 얻기가 어려웠다. ‘의약품안전나라’ 누리집 내 ‘의약품 등 정보’ 코너에서 제품명을 입력해야만 의약외품 안전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서다. 의약외품은 제품 바코드를 휴대전화 카메라로 비추면 안전 정보로 연결해 주는 서비스가 없다.

권도경 기자 kwon@munhwa.com
권도경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