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연합뉴스
AP연합뉴스


블링컨, 안보리 회의에서 경고
하원은 제재 법안 초당적 발의


워싱턴=김남석 특파원 namdol@munhwa.com

토니 블링컨(사진) 미국 국무장관이 20일(현지시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독재자’라고 부르고 북한과 러시아 간 무기 거래를 차단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조처를 하겠다고 밝혔다. 미 하원에서는 북한이 러시아와 무기 거래 시 제재를 강화하는 ‘러시아·북한 협력 제재’ 법안이 초당적으로 발의됐다.

블링컨 장관은 이날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안전보장이사회 장관급회의에 참석해 “지난주 러시아는 북한 독재자 김정은을 초청했다”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군사적 협력 방안들을 논의했다고 밝혔고, 김 위원장은 러시아의 침략 전쟁에 북한의 완전하고 조건 없는 지원을 약속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북·러 간 무기 이전은 복수의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는 것”이라며 “어떤 나라가 유엔과 그것이 대표하는 바를 이보다 더 멸시할 수 있을지 상상하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블링컨 장관은 같은 날 NBC 인터뷰에서 “러시아는 북한·이란 같은 정권으로 향하고, 미국과 많은 나라가 제재·수출통제를 부과한 무기와 기술을 얻기 위해 필사적으로 노력한다”며 “우리는 가능한 모든 곳에서 그것을 차단하고 깨뜨리는 방법을 찾고 조처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지한파 의원모임 ‘코리아 코커스’ 공동의장인 제리 코널리(민주) 하원의원과 조 윌슨(공화) 하원의원은 18일 북한이 러시아에 무기 판매나 물질적으로 지원하는 데 책임 있는 개인·단체, 금융기관 등을 제재하도록 하는 내용의 법안을 초당적으로 발의했다. 윌슨 의원은 “김정은은 폭군동맹 일원”이라며 “법안은 독재자 김정은이 전범 푸틴의 우크라이나인 대량학살을 돕거나 이득을 얻지 못하도록 한다”고 설명했다.

반면 북한은 김 위원장의 방러를 “역사적 대외 혁명 활동”으로 칭송하며 우상화 강화에 나섰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21일 1면 사설에서 “조로(북러) 친선과 협조, 선린우호 관계를 새로운 높은 단계로 강화 발전시키고 반제 자주 위업 수행을 위한 정의의 투쟁을 힘있게 고무 추동했다”고 주장했다.

한편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이날 유엔 안보리에서 다시 충돌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범죄로 규정하고 러시아의 거부권 박탈을 주장했다. 반면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교장관은 거부권은 합법적 권한이라며 우크라이나가 미국의 꼭두각시라고 반박했다.
김남석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