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현대차 공장. 타스 연합뉴스 자료사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현대차 공장. 타스 연합뉴스 자료사진


"2년 내 바이백 조건"…현지에선 AGR 등 거론
현대차 "여러가지 방안 검토" 신중한 입장



러시아의 ‘특별군사작전’ 여파로 1년 6개월째 휴업 상태인 현대자동차 러시아 공장이 러시아 기업에 인수될 것이라고 데니스 만투로프 러시아 부총리 겸 산업통상부 장관이 밝혔다.

러시아 리아 노보스티 통신에 따르면, 만투로프 장관은 25일(현지 시간) 카자흐스탄 이노프롬 산업전시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현대차 인수와 관련해 이미 모든 결정이 내려졌다"며 "적어도 회사 측이 직접 밝힌 바로는 조만간 결론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인수 기업은 국내(러시아) 기업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으나 특정 기업 이름을 언급하지는 않았다.

만투로프 장관은 "그들은 옵션을 계획하고 있지만, 대통령령을 고려하면 (유효기간이) 2년으로 제한된다"고 덧붙였다. 만투로프 장관이 거론한 옵션은 매각 후 되살 수 있는 권리(바이백)를 의미한다.

지난해 10월 일본 자동차기업 닛산도 공장 등 러시아 내 자산을 6년 내 되살 수 있는 바이백을 조건으로 1유로에 러시아 국영 자동차개발연구소인 ‘NAMI’에 매각한 바 있다. 다른 일본 자동차업체인 도요타도 지난 3월 NAMI에 상트페테르부르크 공장을 매각했고, 프랑스 르노는 지난해 5월 러시아 자회사 지분을 러시아 정부와 모스크바시에 넘기고 철수했다.

현대차는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생산 공장을 갖고 있으나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서 ‘특별군사작전’을 시작한 이후인 지난해 3월 부품 공급 어려움 등을 이유로 생산을 중단했다.

타스 통신 등에 따르면 2011년 가동을 시작한 이 공장은 연간 23만 대 생산 능력을 지녔지만, 생산 중단 이후 2537명의 직원 중 2260여명이 유휴 상태였다.

이 공장에서는 현대 소형 세단 솔라리스(엑센트), 소형 SUV 크레타, 기아 리오 등 모델을 제조했다. 유럽비즈니스협회(AEB)에 따르면 현대차는 지난달 러시아 시장에서 총 6대만 판매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년 2892대 판매 실적과 비교해 99.9% 급감한 수치다.

러시아 현지에서는 러시아 자동차·부품 판매 회사 ‘AGR 오토모티브 그룹’, ‘아프토토르’, 중국 ‘체리’ 등이 현대차에 관심을 보이며 인수를 추진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현대차 측은 이러한 보도와 관련해 "러시아 공장 관련해 다양한 시나리오를 놓고 여러 가지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곽선미 기자
곽선미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