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악관은 북한이 지난달 말 발생한 1억5000만 달러(약 2000억 원) 규모의 가상화폐 해킹 배후로 의심된다고 6일(현지시간) 밝혔다.
앤 뉴버거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사이버·신기술 담당 부보좌관은 이날 블룸버그통신과 인터뷰에서 지난달 말 발생한 탈중앙화 금융(DeFi·디파이) 업체 믹신의 해킹 공격 배후로 북한을 지목했다.
뉴버거 부보좌관은 "해킹 수법이 이전 북한의 수법과 동일한 것으로 보인다"며 현재 사법 당국의 수사가 진행 중이지만 과거 북한이 행했던 범죄와 동일한 수법이 엿보인다고 밝혔다. 또 이 같은 방법으로 훔쳐간 가상화폐를 북한이 미사일 개발 자금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앙기관의 통제 없이 가상화폐 거래를 중재하는 믹신은 앞서 지난달 25일 해킹 공격을 2억 달러 규모의 가상화폐를 도난당했다고 공지했다.
추가 조사를 통해 피해액은 1억5000만 달러로 변경됐다.믹신측은 북한의 해킹 공격과 관련한 의혹에 대해서는 언급을 거부했다.
이와 관련 뉴버거 부보좌관은 미국 정부가 가능하다면 도난당한 가상화폐를 회수하는 방안을 도울 것이라면서 연방수사국(FBI)이 이미 북한에 절취된 수백만 달러 규모의 가상화폐를 되찾은 바 있다고 공개했다.
가상화폐 분석회사인 체이널리시스에 따르면 북한과 관련된 해킹 그룹은 믹신 건을 제외하고 올해만 3억4000만달러 규모의 가상화폐를 절취했으며, 이는 전체 가상화폐 해킹 피해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북한이 지난해 해킹한 가상화폐는 16억5000만 달러(약 2조2000억 원)로 추산된다.
황혜진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