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규 주한미군 공보관. 연합뉴스
김영규 주한미군 공보관. 연합뉴스


79년 미2사단서 공보업무 시작, 31일 퇴임…"실감 안나, 뉴스 벗어난다니 시원"


44년 동안 주한미군에서 대(對)언론 창구 역할을 해온 ‘주한미군과 한미동맹의 산 증인’ 김영규(76) 공보관이 오는 31일 퇴임한다.

한미연합사는 오는 20일 경기도 평택 서부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리는 한미동맹 70주년 기념 음악회에서 김 공보관에게 한미동맹에 기여한 공로로 감사패를 전달할 예정이라고 18일 밝혔다.

김 공보관은 30세이던 1976년 입대해 카투사(주한미군 배속 한국군 병사)로 차출되면서 주한미군과 연인이 시작됐다.

연세대(67학번)에서 역사학을 전공한 그는 동두천에 있는 미 2사단 공보실에 배속돼 2사단 기관지인 ‘인디언 헤드’ 기자로 근무했다.

1000번 넘게 마르고 닳도록 판문점을 드나든 만큼 얽힌 기억도 많다. 이등병 시절인 1976년 북한군의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당시 미 2사단 대원들이 북한군과 대치하면서 판문점의 미루나무를 제거하는 작전을 지켜보고 기록으로 남겼다. 당시 현장을 취재할 땐 ‘죽으러 가는 줄’ 알았다고 회고했다.



김영규 주한미군 공보관이 헬기에 탑승한 모습. 본인 제공
김영규 주한미군 공보관이 헬기에 탑승한 모습. 본인 제공


1979년 전역과 함께 미 2사단 공보실 정식 직원으로 채용됐고, 1985년에는 주한미군 공보실로 자리를 옮겼다. 이후 주한미군사령부와 한미연합사령부, 유엔군사령부의 공보관으로서 한국군과 미군의 가교 역할을 했고, 내외신 기자들의 현장 취재를 지원해왔다. 주한미군 공보관은 국내 주요 뉴스를 정리해 영문으로 보고서를 만들어 사령관과 참모에게 전달하는 역할도 한다.

김 공보관은 "아직 실감이 나지 않는다"면서도 "매일 뉴스를 검색해야 했는데, 뉴스 속에서 벗어난다고 생각하니 시원하다"고 퇴임 소회를 밝혔다.

그는 "한미동맹은 6ㆍ25전쟁을 통해서 맺어진 혈맹의 관계"라며 "가끔은 오해가 있을 수도 있지만 한미동맹은 더욱 굳건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충신 선임기자
정충신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