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 현실과 입시의 한 단면…사회적 비용 커지고 있어 대책 필요"
최근 3년간 전국 국립 의대에 정시모집으로 입학한 학생 80%가 재수·삼수생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실상 고3 학생이 재수나 삼수 없이 의대를 가기는 어렵다는 의미다. ‘의대 쏠림’ 현상이 심화하면서 ‘사회적 낭비’가 커지고 있다는 지적과 함께 교육 당국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5일 국회 교육위원회 안민석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전국 10개 국립대 의대에서 제출받아 분석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정시모집을 통해 이들 대학에 입학한 학생은 모두 1121명으로 집계됐다. 이들 가운데 재수·삼수생은 911명으로 81.3%에 달했다.
연도별로 2021학년도에는 정시모집 신입생의 84.2%(386명 중 325명)이 재수·삼수생이었고, 2022학년도에는 82.0%(373명 중 306명), 2023학년도에는 77.3%(362명 중 280명)가 재수·삼수생이었다.
특히 A 대학의 경우 2022학년도 정시모집으로 입학한 신입생 29명 가운데 1명을 뺀 28명(96.6%)이 재수·삼수생이었다. 고교 3학년생이라면 사실상 이 대학 의대 정시모집에 지원해 합격할 가능성이 거의 없는 셈이다. 이 학교는 이듬해에도 정시모집 신입생 30명 중 28명(93.3%)이 재수·삼수생이었다.
B 대학의 경우도 2021학년도 정시모집 신입생 55명 중 50명(90.9%)이, C 대학도 2022학년도 정시모집 신입생 20명 가운데 18명(90.0%)이 재수·삼수생이었다.
안 의원은 "의대 열풍과 재수생 증가는 우리나라 교육 현실과 입시의 한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라며 "‘의대 쏠림’으로 학생·학부모는 물론, 대학과 사회가 부담해야 하는 사회적 비용도 커지고 있기 때문에 국회와 교육부, 국가교육위원회, 학교가 머리를 맞대고 공론화를 통해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정환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