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 전 더불어민주당 민주연구원 부원장이 지난달 30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민주당 불법 대선자금 의혹 사건 관련 선고 공판에 출석한 모습. 뉴시스.
김용 전 더불어민주당 민주연구원 부원장이 지난달 30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민주당 불법 대선자금 의혹 사건 관련 선고 공판에 출석한 모습. 뉴시스.


진중권 광운대 교수 “김용 유죄 당연…이재명 측 유동규 진술 신빙성 공격 안 통해”


진중권 광운대 특임교수는 대장동 민간 개발업자들로부터 불법 선거 자금, 뇌물 등을 받은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김용 전 더불어민주당 민주연구원 부원장이 1심에서 징역 5년을 선고받은 데 대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상당히 불리하게 됐다”고 밝혔다.

진 교수는 지난달 30일 CBS 라디오 ‘박재홍의 한판승부’에 출연해 “이 사안의 핵심은 이재명 대표가 혜택을 준 사람들한테 돈을 받았고, 적어도 6억은 이 대표의 대통령 후보 경선에 쓰였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진 교수는 “이재명 측은 유동규(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의 진술 신빙성을 계속 공격했는데 법원은 1년 전이기 때문에 세세한 부분에서 기억이 틀릴 수 있다 하더라도 주요한 범죄, 큰 줄거리에서는 진술이 일관됐다고 판단했다”며 “경선 자금 수사로 이어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진 교수는 이어 “돈을 줬다는 게 사실 사진 찍어서 하기 전에는 밝혀낼 수가 없는 것 아니냐”며 “결국은 진술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데 그 진술을 주요하게 하고 있는 유동규 진술의 신빙성을 흔드는 게 이재명 측의 가장 중요한 전략이었는데 그게 지금 깨져버린 것이다”고 설명했다.

진 교수는 김 전 부원장에 대한 1심 판결로 검찰이 ‘이재명 대선 자금 저수지’로 의심하는 대장동 사업 수익 428억 원과 관련 수사를 이어갈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이 자금이) 428억 원 중 일부라고 얘기했고, 또 그 428억의 주인이 이재명이 아니라고 얘기하라고 언론 플레이를 한 것이 들통났기 때문에 결국은 연결된다”며 “꺼져가는 수사의 불이 다시 살아났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3부(부장 조병구)는 지난달 30일 김 전 부원장의 정치자금법 위반과 뇌물 수수 혐의를 모두 일부 유죄로 판단, 징역 5년을 선고하고 벌금 7000만 원 및 추징금 6억7000만 원을 명령했다. 이 대표의 측근인 김 전 부원장은 당내 대선 예비경선 전후인 지난해 4∼8월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본부장 등과 공모해 민간업자 남욱 씨로부터 4차례에 걸쳐 대선자금 명목으로 8억4700만 원을 수수한 혐의로 구속 기소됐다. 이 가운데 6억 원은 김 전 부원장에게 전달됐으며, 나머지 2억4700만 원은 유 전 본부장이 김용 전 부원장에게 전달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최지영 기자

관련기사

최지영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