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화일보·케이스탯 서울편입 여론조사
하남·광명도 정부견제 우위
“與지지보다 편입찬성율 높아”
여권발(發) ‘메가시티’ 구상의 편입 대상으로 거론되는 경기 김포·광명·구리·하남에 거주하는 주민을 대상으로 내년 국회의원 총선거에 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김포·광명·하남에서 ‘정부 견제론’이 ‘정부 지원론’보다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통령 국정 운영에 대해서는 네 지역 모두 부정 평가하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단 서울시 편입이나 메가시티에 대한 찬성 응답은 총선 인식이나 대통령 국정 지지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문화일보가 지난 1∼2일 케이스탯리서치와 함께 김포·광명·구리·하남에 거주 중인 18세 이상 남녀 2009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한 결과, 내년 총선에서 ‘현 정부를 견제하기 위해 야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정부 견제론)는 응답은 광명 53%, 하남 49%, 김포 45%, 구리 42%로, 모두 40%를 넘었다. 반면 ‘현 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여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정부 지원론)는 응답은 구리 42%, 김포 36%, 하남 34%, 광명 32%로, 구리를 제외하고 모두 30%대였다.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대해서는 네 지역 모두 부정 평가가 긍정 평가의 2배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매우 잘못하고 있다’와 ‘잘못하는 편이다’ 등 부정 평가는 광명 65%, 김포·하남 60%, 구리 55%로 모두 50%를 넘었다. 반면 ‘매우 잘하고 있다’ ‘잘하는 편이다’ 등 긍정 평가는 구리 35%, 하남 33%, 김포 32%, 광명 27%로, 30% 안팎으로 나타났다. 이들 지역에서 본인 거주 지역의 서울시 편입에 대해서는 김포 57%, 광명 55%, 구리 68%, 하남 57%가 찬성하는 응답을 한 것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서울시 편입 이슈가 지역에서는 ‘먹히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 여권 관계자는 “모든 정책 이슈가 윤 대통령의 국정 운영 지지도에 수렴하는 식으로 여론이 확 갈라진 상황에서 서울시 편입 이슈는 경기 지역 중소 도시에는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 어떻게 조사했나
이번 조사는 문화일보가 케이스탯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2월 1일부터 2일까지 양일간 이뤄졌다. 경기 김포·광명·구리·하남시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통신 3사가 제공하는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이용한 전화면접 조사로 실시했다. 표본의 크기는 김포 501명, 광명·하남 500명, 구리 508명이고 응답률은 각각 김포 20.4%, 광명 15.4%, 구리 15.4%, 하남은 16.5%다.
2023년 10월 말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인구 통계를 기준으로 성·연령·지역별 가중치를 부여했으며 표본오차는 김포·광명·하남은 95% 신뢰 수준에서 ±4.4%포인트, 구리는 95% 신뢰 수준에서 ±4.3%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이후민 기자 potato@munhwa.com
관련기사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