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TV ‘나 혼자 산다’  방송화면 캡처. 뉴시스
MBC TV ‘나 혼자 산다’ 방송화면 캡처. 뉴시스


서정숙 국민의힘 의원, 원내대책 회의에서 논란의 발언
"저출산에 기여하는 집단 있어…출산 기피 사회 풍조 만연"



서정숙 국민의힘 의원이 한국의 출산율 문제를 언급하며 "(방송에) 온통 ‘나 혼자 산다’, 불륜, 사생아, 가정 파괴 드라마가 너무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방송사 프로그램 편성에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출산 원인을 예능 프로그램과 드라마에 돌린 셈이다.

5일 서 의원은 국회에서 열린 당 원내대책회의에서 "저출산에 기여하는 집단들이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서 의원은 "이제라도 (방송사가) 따뜻하고 훈훈한 가족 드라마를 많이 개발해 사회 분위기 조성에 기여해주길 부탁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통계청은 2023년 3분기 합계 출산율이 0.7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밝힌 바 있다. 서 의원은 이를 언급하며 "혼인율이 줄어드는 것도 문제지만 출산을 기피하는 사회 풍조가 우리 사회에 만연된 게 더 큰 문제"라며 "결혼과 출산에 대한 파격적인 정책이 뒤따르지 않는 한 지금의 초저출산 상황을 타개하기는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여권에서 저출산 문제를 방송 프로그램에 돌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앞서 나경원 전 의원도 대통령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을 맡고 있던 지난해 11월 한국방송 라디오에서 "‘나 혼자 산다’ 이런 프로그램이 있다고 들었다. 혼자 사는 것이 더 행복한 걸로 너무 인식되는 것 같다"며 "정책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사회 인식"이라고 말한 바 있다.

한편 한국은행 경제연구원은 최근 초저출산의 원인으로 주거·고용·양육 측면의 ‘불안’과 높은 경쟁 압력을 꼽았다. 보고서는 "고용·주거·양육 측면의 불안과 경쟁 압력을 낮추기 위한 지원과 대책이 필요하다"며 "동시에 그 근저에 있는 높은 주택가격, 수도권 집중, 노동시장 이중구조 등 우리 경제의 구조적 문제점을 개선하는 ‘구조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정환 기자
임정환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