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규(왼쪽)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8일 서울 중구 달개비 컨퍼런스하우스에서 열린 제3차 철강업계 불금 간담회를 주재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방문규(왼쪽)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8일 서울 중구 달개비 컨퍼런스하우스에서 열린 제3차 철강업계 불금 간담회를 주재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방문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8일 "철강산업이 글로벌 탄소 규제 강화, 수요산업 변화 등 다양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며 "저탄소·고부가 첨단소재산업으로서 더욱 도약하도록 다방면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방 장관은 이날 오전 서울 중구 콘퍼런스하우스 달개비에서 ‘제3차 불금 간담회’를 열고 업계 관계자들과 철강 산업 주요 현안과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방 장관은 지난 9월 취임 후 기계로봇 등 주요 산업 분야별로 ‘경제 성장의 불씨를 살리는 금요 조찬 간담회’를 뜻하는 ‘불금 간담회’를 열고 업계 관계자들과 소통하고 있다.

이날 철강 간담회에는 김학동 포스코 부회장, 서강현 현대제철 사장, 최삼영 동국제강 부사장, 이휘령 세아제강 부회장, 변영만 철강협회 부회장 등 철강 기업 경영진이 참석했다. 기업인들은 대내외 탄소 감축 요구와 글로벌 수요 부진에 대응하기 위해 수소 환원 제철과 같은 탄소중립 기술 도입, 적극적인 투자·세제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국내 철강산업은 글로벌 부진에 이어 유럽연합(EU) 탄소국경조정세(CBAM)까지 시범 도입되며 어려움을 겪고 있다. CBAM에 따라 EU에 수입되는 철강·알루미늄·시멘트·비료·전력·수소 등 6개 품목은 탄소배출량을 의무적으로 보고해야하고, 의무를 준수하지 않으면 t당 10~50유로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2025년 준비기간을 거쳐 2026년부터는 배출량만큼 CBAM 인증서를 구매해야 하기 때문에 국내 수출 기업 비용도 증가할 수밖에 없다. 한국무역협회 조사 결과, 지난해 한국의 대EU 수출액 681억 달러 중 CBAM 대상품목 수출액은 51억달러(7.5%)었는데 이 가운데 철강 비중은 약 89.3%로 철강업계가 CBAM 시행의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박수진 기자
박수진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