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중해 연안 도시 알마와, 식수·식량 부족
WHO 사무총장 “이미 위기 처한 사람 건강 문제”
이스라엘군의 권고에 따라 인도주의 구역으로 피란한 가자지구 주민들이 식량, 물, 전기 등이 부족한 비인도적 상황에 처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두 달 넘게 이어진 이스라엘-하마스 간 전쟁으로 가자지구 인구 230만명의 85%인 190만명이 고향을 떠난 상황에서 이스라엘군이 알마와 시를 ‘안전지대’로 정하자 이곳으로 인구 유입이 급증하면서 기본적인 생활조차 어려워진 것이다.
영국 BBC 방송은 8일(현지시간) 지중해 연안 도시 알마와로 피란한 가자지구 주민들의 상황을 상세히 보도했다. 가자지구 북부에서 남부 칸 유니스로 피란했다가 이스라엘군의 남부 대공습이 시작되자 알마와 시로 대피했다는 림 압드 라부는 이곳에서 물, 전기와 같은 기본 서비스를 전혀 지원받지 못했다면서 “인간을 위한 곳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웃집이 폭격당하는 것을 목격하고 알마와 시로 피란했다는 모나 알 아스탈도 이곳에서 텐트와 생필품을 300달러(약 40만원)에 사야 했으며, 배고픈 사람들이 유엔 창고에 침입하는 것을 본 적이 있다고 했다. 그는 머릿니와 수두, 장염 등 질병이 어린이들 사이에 널리 퍼져 있다면서 “하루하루 지날수록 우리가 마주한 위험은 커진다”고 성토했다.
앞서 이스라엘군은 지난 10월 18일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군은 가자지구 주민에게 알마와시 지역의 인도주의 구역으로 이동할 것을 명령한다. 알마와시는 필요한 경우 국제 인도주의 지원을 바로 받는다”고 밝혔다. 이스라엘군은 첫 통보 이후 지금까지 최소 15차례에 걸쳐 이곳으로의 피란을 권고해 왔다.
피란민이 대거 몰리고 있는 이집트 국경 근처 라파 지역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이곳 주민 샤흐드 알 모달랄은 영국 일간 가디언에 “칸 유니스 주민들이 라파로 피란하기 전에 라파에는 이미 연료와 물, 식량이 부족했다”면서 “이곳은 조용하지만, 난민의 규모와 식량·자원 부족으로 상황이 끔찍하다. 진짜 기근 상황이다”고 했다.
국제기구들 또한 이스라엘이 인도주의 지역으로 거론한 곳에서 불거지는 문제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은 지난달 중순 “인프라나 서비스가 거의 없는 작은 지역에 너무 많은 사람을 밀어 넣으려는 시도는 이미 위기에 처한 사람들의 건강에 대한 위험을 크게 증가시킬 것”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김무연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