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남=박성훈 기자
경기 성남시가 전국 최초로 도입한 치매 감별검사 본인부담금 지원 사업이 치매 예방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이 사업은 중위소득이 120% 이하이고 60세 이상인 성남시 주민이 수정·중원·분당구보건소 치매안심센터에서 무료로 실시하는 1차 선별검사와 2차 진단검사를 받은 후, 치매 의심 소견에 따라 3차 진단기관인 시 협약 의료기관에서 감별검사를 받으면 지원금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11일 시에 따르면 지난 1월 605명이었던 선별·진단·감별 검사 인원은 10월 2134명, 11월 1819명으로 증가하면서 지금까지 시내 60세 이상 노인의 약 8.9%인 1만7928명이 치매 조기 검진을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성남시는 그중 중위소득 120% 이하의 요건을 충족한 142명에게 총 2700만 원의 검진 비용을 지원했다. 이는 올해 목표한 100명보다 40% 이상 초과한 인원이다. 시는 치매 감별에 필요한 컴퓨터단층촬영(CT), 자기공명촬영(MRI), 혈액 검사 등 당사자가 내야 하는 5만∼33만 원의 본인부담금을 최대 33만 원까지 지원했다.
3차 감별검사 협약 의료기관은 바른세상병원, 보바스기념병원, 분당서울대병원, 분당제생병원, 분당차병원, 서울나우병원, 성남시의료원, 성남정병원, 성남중앙병원, 성모윌병원 등 10곳이다. 시는 이를 위해 지난해 10월 보건복지부와 사회보장제도 신설 협의를 마치고, 올해 사업비 3300만 원을 확보했다.
시는 치매 감별검사 지원 사업이 시민의 호응 속에 뚜렷한 성과를 내면서 내년에는 지원 인원수를 150명으로 늘릴 예정이다. 사업비는 올해보다 1600만 원 증가한 4900만 원으로 책정했다.
신상진 성남시장은 "올해 남은 기간은 물론 내년에도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홍보 활동을 통해 치매 검진에 관한 관심과 조기 검진율을 높이겠다"면서 "이 사업으로 의료사각지대 저소득 어르신들이 경제적 부담으로 인해 치매 감별검사를 받지 않아 치료 시기를 놓치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